5 릴 슬롯 월천꾼 (꾼)

목차
사회구조
개념
내[川]와 여울을 건너려는 사람을 업어서 건네주던 직업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내[川]와 여울을 건너려는 사람을 업어서 건네주던 직업인.
내용

전통사회에서 있었던 일종의 직업인으로서 이러한 5 릴 슬롯이 언제 나타났다가 언제 없어졌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나 조선시대에는 매우 흔하였다. 이들에게는 홍수가 나는 때가 대목이었다.

5 릴 슬롯이 등장하게 된 것은 우리나라의 옛 길이 많은 내나 여울을 건너야 하였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나루나 포구라면 거룻배가 있어서 쉽게 건널 수 있었지만 내나 여울은 신을 벗고 건너야 하였다.

그러나 당시 양반이나 부인들은 신을 벗기 곤란하였으므로 자기의 하인이 없을 경우, 직업적인 5 릴 슬롯에 업혀서 건널 수밖에 없었다. 특히, 내행(內行)일 경우 남자들에게 맨 발을 보이는 것은 금기였다. ‘발을 보인다.’라는 말은 여인이 곁을 허락한다는 뜻으로도 통하였으므로 유방을 내보이는 일보다 더 금기시되었다.

따라서, 신을 벗고 맨발로 건너는 일은 거의 삼갔다. 내나 여울목에는 두서너 사람의 5 릴 슬롯이 기다리다가 이렇게 신을 벗기 곤란한 사람들을 업어서 건네 주고는 품삯을 받았는데 대개는 허우대가 장대한 근처 마을의 장정들이었다.

‘5 릴 슬롯에 난장이 빠지듯’ 하는 속담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키가 작거나 체격이 왜소한 사람들은 하기가 어려운 일이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5 릴 슬롯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5 릴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