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 슬롯 추천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

목차
관련 정보
제천 월광사지 전경
제천 월광사지 전경
서예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건립된 승려 원랑선사의 탑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제천 rt 슬롯 추천지 원랑선사탑비(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 슬롯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건립된 승려 원랑선사의 탑비.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이 3.95m, 비신 높이 2.26m, 너비 97㎝, 두께 24㎝.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동창리 rt 슬롯 추천지에 있던 것을 1922년에 경복궁으로 옮겨 놓았고,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는 통일신라 후기의 전형적인 석비 형식을 따랐으며, 전체적인 비례가 잘 조화된 단아한 조형이다. 890년(진성여왕 4)에 건립되었다.

비의 주인공인 원랑선사는 856년 당나라에 유학하여 11년간 명산을 편력하고 귀국한 뒤, rt 슬롯 추천에 머무르면서 선문(禪門)을 빛나게 하였다. 68세로 입적하자 헌강왕은 ‘원랑선사’라 추시(追諡: 죽은 후에 시호를 내림)하고 ‘대보광선(大寶光禪)’이라는 탑명을 내렸다. 비문은 문신인 김영(金穎)이 짓고 글씨는 승려 서예가 순몽(淳蒙)이 썼는데, 계선(界線) 안에 2㎝ 정도로 쓴 구양순(歐陽詢)체의 해서이다. 현재 rt 슬롯 추천 터에는 탑의 부재 일부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서울금석문대관』(서울특별시, 1987)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國書刊行會, 1935)
『朝鮮金石總覽』上(京城: 朝鮮總督府, 1919)
집필자
정충락(서예가)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 슬롯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rt 슬롯 추천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rt 슬롯 추천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rt 슬롯 추천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