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지 슬롯 추천은 사찰 가운데 창건주가 자신의 소원을 빌거나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건립하는 건축물이다. 진영(眞影)을 모신 건물을 중심으로 할 때에는 원당이라고도 한다. 대궐 안의 원당은 내불당 또는 내원당이라 한다. 고려 시대 왕실에서는 왕과 왕비의 진영을 모신 진전사원을 세웠다. 진전사원에는 왕과 왕비의 진영을 봉안, 기일마다 불교식 재를 올려 명복을 빌었다. 조선 시대 태조는 계비 강씨가 죽자 1405년 정릉에 장사 지내고 그 옆에 흥천사를 세워 크레이지 슬롯 추천로 삼았다. 1776년(정조 즉위년) 크레이지 슬롯 추천에서 생기는 폐단이 많아서 원당을 일절 금할 것을 법제화하였다.
진영(眞影)주1을 모신 건물을 중심으로 할 때에는 크레이지 슬롯 추천(願堂)이라고도 하며, 대궐 안의 크레이지 슬롯 추천은 내불당(內佛堂) 또는 내크레이지 슬롯 추천(內願堂)이라 한다. 신라에는 불교 공인 전인 소지왕 때 내불당이 있크레이지 슬롯 추천. 544년(진흥왕 5)에 완공된 대왕흥륜사(大王興輪寺), 신궁(新宮)을 지으려던 계획을 변경하여 553년에 완성한 황룡사(皇龍寺), 635년(선덕여왕 4)에 창건한 영묘사(靈廟寺) 등은 왕실 크레이지 슬롯 추천이었다.
또한,감은사(感恩寺)는문무왕의 명복을,봉덕사(奉德寺)는태종무열왕의 명복을, 봉은사(奉恩寺)는 진지왕의 명복을, 동화사(桐華寺)는 민애왕의 명복을, 보림사(寶林寺)는 헌안왕의 명복을 비는 크레이지 슬롯 추천이었다. 그리고 송화방(松花房)은 김유신(金庾信)의명복을,장의사(壯義寺)는장춘랑(長春郎)및파랑(罷郎)의 명복을,자추사(刺秋寺)는이차돈(異次頓)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건립된 크레이지 슬롯 추천이었다. 감산사(甘山寺)는김지성(金志誠)일족의 명복을,김효양(金孝讓)이 세운무장사(鍪藏寺)는 그 작은아버지의 복을, 법광사(法光寺)는김균정(金均貞)의 복을 비는 크레이지 슬롯 추천이었다.
신라시대에는 왕실의 사원관계 기구로 크레이지 슬롯 추천전(願堂典)이 있어 크레이지 슬롯 추천에 관여하였다. 중대(中代) 초기에 성립, 내성(內省)에 속하였다가 뒷날어룡성(御龍省)에 편입된 이 기구에는 대사(大舍) 2인, 종사지(從舍知) 2인의 관원이 있었다. 고려시대에도 왕실 및 귀족들에 의하여 계속 크레이지 슬롯 추천이 건립되었다. 왕실에서는 왕과 왕비의 진영을 모신 진전(眞殿)을 사원에 세웠는데, 진전사원(眞殿寺院)은 곧 왕실의 크레이지 슬롯 추천이었다. 고려시대 왕실에서 건립한 크레이지 슬롯 추천은 〈표〉와 같다.
願刹名 | 位置 | 奉安眞影 | 建立年代 |
---|---|---|---|
安和寺 | 開城南 | 睿宗 | 930(태조 13) |
奉恩寺 | 開城南 | 太祖 | 951(광종 2) |
佛日寺 | 長湍郡 | 神明王后 劉氏 | 951(광종 2) |
崇敎寺 | 開京 | 1000(목종 3) | |
玄化寺 | 開京 | 顯宗 | 1018(현종 9) |
眞觀寺 | 開京 | 獻哀王后 皇甫氏 | 1029(현종 20) |
重光寺 | 開城東 | 安宗 | 1012(현종 3) |
興王寺 | 豊德 | 文宗 | 1067(문종 21) |
弘圓寺 | 開京 | 1102(숙종 6) | |
大雲寺 | 開京 | 元惠王后 金氏 | 1048(문종 2) |
弘護寺 | 開京 | 1093(선종 10) | |
國淸寺 | 開京 | 仁睿太后 李氏 | 1097(숙종 2) |
靈通寺 | 仁宗·恭睿太后 | 1146(의종 1) | |
天壽寺 | 開京 | 肅宗·明懿太后 | 1116(예종 11) |
海安寺 | 開京 | 高麗祖宗眞影 | 1175(명종 5) |
宣孝寺 | 開城東 | 毅宗 | 1181(명종 11) |
賢聖寺 | 開城東 | 康宗 | 1213(강종 2) |
(景靈殿) | 高宗·元宗 | ||
龍興寺 | 開京 | 明宗 | 1309(충선왕 1) |
妙蓮寺 | 開京 | 忠烈王·齊國公主 | 1284(충렬왕 10) |
神孝寺 | 開豊郡 | 忠惠王·德寧公主 | |
廣明寺 | 開京 | 忠肅王 | |
長安寺 | 金剛山 | 奇皇后 | 1337(충숙왕 복위 6) |
普濟寺 | 開京南 | 恭愍王 | 1374(우왕 1) |
〈표〉 고려시대의 왕실 크레이지 슬롯 추천 |
이들 진전사원에는 왕과 왕비의 진영을 봉안, 주2마다 불교식재(齋)를 올려 명복을 빌었고, 기일에는 흔히 국왕이 행차하였으므로 시설을 화려하게 하고 중요시하였다. 이 밖에도 고려시대에는 귀족들의 크레이지 슬롯 추천이 있었는데, 1245년(고종 32)에 강화에 건립된 선원사(禪源寺), 벽란강변에 세워졌던 이지영(李至榮)의 크레이지 슬롯 추천 보달원(普達院), 충렬왕때조인규(趙仁規)가 과천에 세웠던청계사(淸溪寺), 고용봉(高龍鳳)이 전주에 중창하였던 보광사(普光寺) 등은 그 대표적인 사찰이크레이지 슬롯 추천.
크레이지 슬롯 추천의 건립은 조선시대까지도 계승되었다. 태조는주3인 강씨(康氏)가 죽자 1405년 정릉(貞陵)에 장사지내고 그 옆에 흥천사(興天寺)를 세워 크레이지 슬롯 추천로 삼았다. 이를 시작으로 역대의 왕이나 왕비의 능 근처에 대부분 크레이지 슬롯 추천이 건립되었다. 1776년(정조 즉위년)까지도 크레이지 슬롯 추천에서 생기는 폐단이 많았으므로 원당을 일절 금할 것을 법전화(法典化)함으로써, 이로부터 사실상 크레이지 슬롯 추천의 건립은 금하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