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 슬롯 검암산 개경사 ( )

목차
불교
유적
경기도 구리시 검암산(檢巖山)에 있었던 조선전기 에 창건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확장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구리시 검암산(檢巖山)에 있었던 조선전기 에 창건된 사찰.
내용

조선 태조의 능인 건원릉(健元陵)의 재궁(齋宮)이었다. 현릉(顯陵) 동쪽에 있었던 것을 능과 가깝다는 이유로 조선 초기 이곳으로 옮겼확장 슬롯, 1408년(태종 8) 재궁을 개경사로 고치고 조계종에 소속시켰다.

노비 150명과 전지(田地) 100결을 이 절에 소속시켰확장 슬롯, 1409년 법회를 개최하였다. 1410년송림현 선흥사(禪興寺)의 탑을 이 절로 옮겼확장 슬롯, 1412년안정왕후(安定王后)의 칠재(七齋)를 행하였다. 같은 해 주지 성민(省敏)의 청에 따라 경주 백률사의 전단관음상(旃檀觀音像)을 이 절로 옮겨 모셨확장 슬롯, 1413년해인사의 대장경을 인출(印出)하여 이곳에 봉안하였다.

1414년 법회를 열고 대장경을 전독하였확장 슬롯, 1418년세종이 이 절에 쌀 50석을 하사하였다. 1419년김구덕(金九德)이 정종의 칠재를 열었확장 슬롯, 1424년 나라에서 전국 사찰의 승려의 수와 전지를 정할 때 승려 200명, 전지 400결로 하였다.

1434년 세종이 이 절의 승려에게 반승(飯僧)하는 것을 항례로 삼게 하였확장 슬롯, 1442년 이 절에 유생들이 출입하는 것을 금하였다. 단종 때에는 절의 이건문제가 제기되었으나 옮기지 않았확장 슬롯, 1799년(정조23)에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는 이미 폐사된 것으로 나와 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확장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확장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확장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확장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