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시조트리플 슬롯(沸流)설화에서 트리플 슬롯와온조(溫祚)트리플 슬롯버지로 나오는 인물이다. 그런데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고구려조에 고구려의 관등에는 “상가(相加) · 대로(對盧) · 패자(沛者) · 고추가(古鄒加) · 주부(主簿) · 우태(優台) · 승(丞) · 사자(使者) · 조의(皁衣) · 선인(先人)이 있는데, 지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각각 등급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시조 비류왕에 나오는 ‘우태(優台)’는 고구려 초기 지배층의 고위 관등 등 가운데 하나로 전하는 ‘우태(優台)’와 같은 글자이다. 『삼국지』의 기사를 중시하면, 원래 비류 등트리플 슬롯버지가 지녔던 ‘벼슬’로서의 우태가 후대에 ‘인명(人名)’처럼 인식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트리플 슬롯는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태조왕(太祖王) 16년에는 “갈사왕(曷思王)의 손자 도두(都頭)가 항복해 오자트리플 슬롯(于台)로 삼다.”라는 기록과 같이 관직으로 표기되기도 하고, 직명(職名)과 별개의 작위(爵位)의 이름으로도 나오기도 한다. 태조왕 재위 말기에 수성(遂成, 차대왕)에게 왕위 찬탈을 건의한 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전하는 트리플 슬롯나(沸流那) 조의(皁衣) 양신(陽神)이차대왕(次大王) 즉위 후 중외대부(中畏大夫)에 임명되면서 트리플 슬롯(于台)로 ‘가작(加爵)’되었다. 이것은 작위로서의 트리플 슬롯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온조와 트리플 슬롯가 온조 중심의 건국설화에서는 주몽트리플 슬롯들로, 비류 중심의 건국설화에서는 우태트리플 슬롯들로 나오는 것에 대해 비류를 우태트리플 슬롯들로, 온조를 주몽트리플 슬롯들로 보는 견해도 있다. 한편, 『주서(周書)』, 『수서(隋書)』, 『북사(北史)』 등의 중국 측 역사서에 “대방의 옛 땅(帶方故地)”에서 백제를 처음 세운 시조로 전하는 ‘ 구태(仇台)’를 트리플 슬롯와 동일한 인물로 보는 설도 있다. 하지만 트리플 슬롯는 백제가 건국되기 전에 주1, 즉 고트리플 슬롯 발상지에서 일찍 죽은 것으로 분명히 나오는 관계로, 성립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