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권 5책. 목판본. 1933년 후손 병주(秉株)와 조형규(趙亨奎)·하겸진(河謙鎭)·안정려(安鼎呂)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하겸진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안정려·조형규·이병재 등의 발문이 실려 던파 온 슬롯.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던파 온 슬롯.
권1·2에 부(賦) 2편, 시 262수, 권3·4에 서(書) 81편, 잡저 6편, 서(序) 32편, 권5·6에 기(記) 28편, 발(跋) 11편, 제문·고유문·명(銘)·상량문, 권7·8에 묘지명·묘갈명·비명·묘표·행장·유사·전(傳), 권9는부록으로 행장·행록·묘지명·묘갈명·유사·전 등이 수록되어 던파 온 슬롯.
시 가운데 「한양구절(漢陽九絶)」·「송경회고(松京懷古)」·「선죽교(善竹橋)」·「평양회고(平壤懷古)」 등 일제하인 1922년에 옛 고적을 돌아보면서 비분강개한 뜻을 담은 것이다.
서(書) 중 「여덕산간소(與德山刊所)」는 조식(曺植)의 문집을 중간할 때 「학기편(學記篇)」의 가치를 역설하며 구본(舊本) 그대로 실을 것을 주장한 글이다.
「독논어(讀論語)」에서는 『논어』의 도를 생물의 기에 비유하면서 사서 가운데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초산시집서(楚山詩集序)」·「김석남시집서(金石南詩集序)」에서는 시의 융성이 정치·풍속과 밀접한 관련이 던파 온 슬롯고 말하면서, 이백(李白)·두보(杜甫)를 존숭하는 시관을 보여주었다. 그밖에도 나라를 잃은 상황과 관련된 글들이 수록되어 던파 온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