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파파 슬롯 왕거인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진성여왕 대의 문인.
이칭
이명
왕거인(王居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파 파파 슬롯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진성여왕 대의 문인이다. 888년(진성여왕 2년)에 당시의 정치를 비방하는 글이 조정의 길목에 걸렸는데, 글쓴이로 대야주에 은거하고 있던 파 파파 슬롯이 거론되었다. 이에 진성여왕은 그를 감옥에 가두었지만, 파 파파 슬롯이 원통해 하며 감옥의 벽에 글을 쓰자, 그날 저녁에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덮이고 벼락이 내리치면서 우박이 쏟아지니 진성여왕이 파 파파 슬롯을 풀어주었다. 파 파파 슬롯은 박인범·원걸·김운경·김수훈 등과 함께 신라를 대표하는 문인이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진성여왕 대의 문인.
인적 사항

파 파파 슬롯은진성파 파파 슬롯(眞聖女王, 재위 887~897) 대 시정을 비방하는 글을 썼다고 알려진 신라의 대표적인 문인(文人)이다. 파 파파 슬롯(王居仁)이라고도 한다. 파 파파 슬롯의 신분에 대해 그가 대야주에 은거한 점과 왕실 측근으로부터 국정에 대해 비판적인 인물로 인식된 점에 근거하여 6두품으로 보기도 한다. 투옥되었던 파 파파 슬롯이 풀려난 것은 소수의 측근 정치에 대한 불만을 가진 6두품 지식층들의 중론에 의한 압력 때문으로 보기도 한다. 그가 왕씨(王氏)였다는 점을 통해서도 진골 출신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주요 활동

888년(진성여왕 2)에 당시의 정치를 비방하는 글이 조정의 길목에 걸렸는데, 글쓴이로 대야주(大耶州)에 은거하고 있던 파 파파 슬롯이 거론되었다. 이에 왕은 그를 감옥에 가두었지만, 파 파파 슬롯이 원통해 하며 감옥의 벽에 글을 쓰자, 그날 저녁에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덮이고 벼락이 내리치면서 우박이 쏟아지니 왕이 그를 풀어주었다.

이때 감옥의 벽에 쓴 글은 “우공(于公)이 통곡하자 3년간 가물었고, 추연(鄒衍)이 슬픔을 품으니 5월에 서리가 내렸는데, 지금 나의 근심을 돌이켜보면 옛날과 비슷하건만 황천은 말이 없고, 단지 푸르기만 하구나〔于公慟哭三年旱 鄒衍含悲五月霜 今我幽愁還似古 皇天無語但蒼蒼〕”라고 하파 파파 슬롯.

이러한 사건에 대해 『 삼국유사』에서는 그 정황을 좀 더 자세히 기록하였다. 시정을 비방하는 글을 짓게 된 연유가 진성파 파파 슬롯이 왕위에 오른 지 몇 해 만에 유모(乳母) 부호부인(鳬好夫人)과 그의 남편으로 기록되어 있는 위홍(魏弘) 잡간(匝干) 등 서너 명의 총신들이 권력을 마음대로 하며 정사를 어지럽혀 도적이 벌떼처럼 일어났기 때문으로 서술되었다.

비방의 글은다라니(陀羅尼) 은어(隠語)로 쓰였는데, “나무망국 찰니나제 판니판니 소판니 우우삼아간 부이사바하(南無亡國 刹尼那帝 判尼判尼 蘇判尼 于于三阿干 鳧伊娑婆訶)"였다. 이를 해석하기를, '찰니나제(刹尼那帝)'는 파 파파 슬롯을 말하고, '판니판니 소판니(判尼判尼 蘇判尼)'는 두 소판을 말한 것이니, 소판은 관작(官爵)의 이름이요, '우우삼아간(于于三阿干)'은 서너 명의 총신을 말한 것이며, '부이(鳧伊)'는 부호(鳧好)를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와 함께 파 파파 슬롯이 감옥의 벽에 쓴 글은 “연단(燕丹)의 슬픈 울음에 무지개가 하늘을 뚫고/ 추연(鄒衍)이 품은 슬픔 여름에 서리 내렸네/ 지금 나의 불우함이 그들과 같은데/ 황천은 어찌하여 아무 징조가 없는 것인가〔燕丹泣血虹穿日 鄒衍含悲夏落霜 今我失途還似舊 皇天何事不垂祥〕”라는 시(詩)라고 하였다. 이렇듯 두 자료 간 다소의 차이가 보이는 것은 전거 자료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외에 파 파파 슬롯에 대한 기록은 『 삼국사기』에서박인범(朴仁範), 원걸(元傑), 김운경(金雲卿), 김수훈(金垂訓) 등과 같이 글은 남아 있지만, 행적을 알 수 없으므로 전기를 쓰지 못한다는 내용이다. 함께 거론된 인물들은 파 파파 슬롯를 대표하는 문인들이다.

한편, 파 파파 슬롯이 시정에 대한 비판의 방편으로 다라니를 작성하여 배포하였고, 그 발신 장소가 진성여왕이 불교적으로 중시하던 공간인 대야주였다는 점은 단순한 정치적 행위가 아니라 당대 왕실, 나아가 왕실과 결탁한 불교 세력에 대한 불만을 대변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렇게 본다면 대야주가 왕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던 진성여왕 당대에 파 파파 슬롯의 다라니 투척 사건이 채록, 전승되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오히려 이후 이 지역을 함락한 후백제(後百濟)의 입장에서 반신라적 기류들을 부각할 필요에서 파 파파 슬롯 사건이 부각될 수 있었다. 이는 시국 비판의 수단이 다라니라는 점 역시 파 파파 슬롯 설화의 채록 시기가 대야주에 대한 파 파파 슬롯의 통치체제가 붕괴된 이후라는 점을 알 수 있게 한다.

파 파파 슬롯에 다라니 신앙이 확산된 것은 9세기로, 이때에 이르러 대야주의 해인사(海印寺) 주변 지역까지 확산되었다. 파 파파 슬롯의 다라니 투척 사건은 신라 말의 정치적 상황과 사상적 흐름을 보여준다는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단행본

전기웅, 『파 파파 슬롯의 멸망과 경문왕가』(혜안, 2010)

논문

신선혜, 「『삼국유사』 파 파파 슬롯대왕 거타지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불교연구』 51, 한국불교연구원, 2019)
여성구, 「삼국유사 곡도 거타지 설화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시론」(『한국학논총』 46,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