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색 명주 장옷 ( c 언어 슬롯 머신)

목차
관련 정보
옥색 명주 장옷
옥색 명주 장옷
의생활
의복
국가유산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옥색을 띈 명주 재질의 쓰개용 장옷.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옥색 명주 c 언어 슬롯 머신(玉色 明紬 c 언어 슬롯 머신)
분류
유물/생활공예/복식공예/의복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79년 01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09 (군자동, 세종대학교 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옥색을 띈 명주 재질의 쓰개용 장옷.
내용

1979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옥색 명주 c 언어 슬롯 머신은 착용자는 분명하지 않으나 고름이 달린 위치는 조선 말기 쓰개 전용의 c 언어 슬롯 머신임을 말해 준다. 개화기 이후 유일한 여성의 포제(袍制)인 두루마기와 비교할 때 매우 크고 길다. 혜원신윤복(申潤福)의 풍속화에서 볼 수 있듯이, c 언어 슬롯 머신은 여성용 쓰개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조선 후기의 착장법이다.

조선 전기에는 쓰개보다는 오히려 두루마기처럼 겉옷으로 착용하였다. c 언어 슬롯 머신은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많은 양이 출토되고 있다. 여자의 포(袍)로 모시 홑 c 언어 슬롯 머신에서부터 솜c 언어 슬롯 머신, 솜누비 c 언어 슬롯 머신 등, 다양한 구성법이 확인된다. 이는 사계절에 c 언어 슬롯 머신이 착용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성인 여자만이 아니라 어린 여아들도 c 언어 슬롯 머신을 입었다는 기록들을 찾아볼 수 있다. c 언어 슬롯 머신은 대부분 좌우 대칭형을 이루고 있는 점이 두루마기를 포함한 포제류와 구분되는 특징이다. 깃은 목판깃이 달렸는데 겉깃과 안깃이 모두 길 쪽으로 들여 달린 특징을 보인다. 예외의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겉섶과 안섶은 두 조각으로 구성된 이중섶이 달렸으며 양쪽 겨드랑이 아래 자색의 소형 사각접음 무와 커다란 사다리꼴 무가 있으며 긴 소매 끝동 부분에 흰색 거들지가 달려 있다.

전세유물들은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으로 쓰개용으로 착용되었던 것이나 기본구성은 조선 전기나 후기나 차이가 없다. 단지 고름의 위치가 다를 뿐이다. 조선 전기의 c 언어 슬롯 머신에는 여며 입을 수 있는 위치에 고름이 달려 있으며 조선 후기의 c 언어 슬롯 머신에는 머리에 쓰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중앙의 섶선 가장자리에 고름이 달렸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덕온공주(德溫公主: 순조(純祖)의 3녀, 1822∼1844)의 c 언어 슬롯 머신은 초록색 경광주 바탕에 흰색 다듬이를 한 모시 안감을 넣은 옷이다. 겨드랑이에는 자색의 작은 사각접음 무 장식을 하였으며 소매 끝동 부분의 흰색 거들지를 달았다. 그리고 흰 동정이 달린 검은 자색 목판깃이 대칭으로 달렸다. 겉깃 끝부분에 넓고 긴 붉은 자색 고름과 홍색 고름이 한 쌍 달려 있고 오른쪽 길에는 여며 입을 수 있는 위치에 붉은 자색 고름 1장이 달렸다. 다른 1개의 홍색 고름은 안깃 끝 부분에 달렸다. 또한 고름이 달린 상태로 미루어 외의용과 쓰개용의 두 가지 용도로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

이 유물의 겉감은 옥색 세주(細紬)이며 안은 백색 무명으로 되어 있는데, 종이심을 넣었다. 이 c 언어 슬롯 머신은 넓은 목판깃과 겨드랑이 아래 한 변이 12cm인 소형 사각접음 무, 고름이 모두 자색 세주로 되어 있다. 소매 끝에는 흰색의 거들지가 달려 있다. 동정의 오염 흔적으로 미루어 오랜 기간 쓰개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총 길이 138.5㎝, 화장 88㎝, 품은 66㎝이다. 겉깃 길이는 39㎝이며 동정은 5.5㎝ 너비로 깃머리에서 12.5㎝ 올라온 지점에 달았다. 수구 너비는 29.5㎝, 거들지 너비는 26㎝이며 약 4.0㎝가 안으로 접혀 들어가 있어 수구 양끝을 곬로 처리하였다. 섶 길이 94.5㎝, 옆길이 97㎝, 무의 너비 32㎝이다. 섶의 구성은 두 조각의 이중섶으로 좌우 섶이 대칭으로 동일하다. 앞쪽으로 맺는 단추가 달려 있으며, 머리에 쓰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조선 후기 단령처럼 안감의 고름이 한 쪽 더 달린 이중 고름이다.

안감과 겉감의 솔기는 따로 따로 바느질되어 있다. c 언어 슬롯 머신의 섶과 도련의 가장자리에 자색 명주의 가는 선을 둘러 주었으며 겉쪽은 0.5㎝, 안쪽은 1㎝ 정도의 선으로 바느질되어 장식적인 효과가 돋보인다. c 언어 슬롯 머신의 뒷면에는 등솔기 없이 1폭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예외적인 재봉법이다.

의의와 평가

겉옷으로 착용되었던 c 언어 슬롯 머신에 비하여 깃이나 동정, 고름 등이 전체적으로 매우 크고 넓다. 그리고 고름 위치나 직선형의 도련과 배래 등에서 확인되는 조선 말기의 쓰개 전용의 c 언어 슬롯 머신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문화재청, 2006)
『조선시대 여인들의 멋과 차림새』(박성실·조효숙·이은주,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편 하(文化財大觀 重要民俗資料篇 下)』(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