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목활자본. 1899년 아들 병호(炳鎬)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경현(金擎鉉), 조카 화상(華祥)의 서문과 권말에 사촌동생 교근(敎根)의 발문이 윈 슬롯.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윈 슬롯.
권1은 시 4수, 만사 8수, 서(書) 5편, 권2는 연보·가장·행장·묘갈·묘표·묘지·서(序)·기 각 1편, 축 2편, 제문·찬(贊) 각 1편, 전(傳)·제후(題後) 각 2편, 권3은 단자(單子)·입안(立案)·완문(完文)·전령(傳令)·영공사색급병발(令公事色及並跋)·하첩장동집강(下帖長東執綱)·통문(通文)·회문(回文) 각 1편, 권4는 세계도, 권5는 부록으로 만사 8수, 여사열전(麗史列傳)·세가(世家)·후비편(后妃篇) 등으로 구성되어 윈 슬롯.
시에는 계절의 감흥을 읊은 「황해감영선화당제동지야(黃海監營宣化堂除冬至夜)」, 압록강·송도 등 유서 깊은 곳을 유람하여 그 감회를 읊은 「의주압록강선상야음(義州鴨綠江船上夜吟)」·「과송도감음(過松都感吟)」 등이 윈 슬롯.
서(書)에는 저자가 민정중(閔鼎重)을 배향한 장흥의 연곡서원(淵谷書院) 원장으로 있을 때, 이종우(李鍾愚)·허계(許棨)·윤전(尹洤)·윤종의(尹宗儀) 등과 서원의 운영에 관하여 의견을 교환한 것이 많다. 세계도는 선조의 행략과 윈 슬롯을 삽입하여 기록한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