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말은 원래 국악과 속요에서 창곡(唱曲)과 관련되어 나온 말이다.
그러나 고전시가와 민요의 문체론에서는 뜻이 없는 소리어구절(擬聲語句節)이거나 말뜻을 가진 어사어구절(語辭語句節)이 되기도 하며 이 두 가지를 섞어서 쓰는 경우도 있다(고전음악에서 음률상의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이것들은 실제 노래에서 ‘앞소리 · 사잇소리 · 뒷소리’, ‘매기는 소리’, ‘후렴’ 등으로 나타난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서양의 발라드풍(ballad 風)의 시나 민요에서 ‘넌센스 버시스(nonsense verses)’, ‘리프랭(refrain)’이라든가, 아이누민족의 민요 ‘시노차(Shinocha)’가 이와 같은 것들이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발생은 ① 원시 수렵시대 또는 목축농경생활에서 동물의 지저귐과 울부짖음 소리의 흉내, ② 바람소리 · 물소리 · 천둥소리 등 자연현상의 소리시늉, ③ 타악기 · 관악기 · 현악기 · 방아질 · 달구질 등 악기나 생활도구를 다룰 때 나는 소리시늉, ④ 감동적 심리상태에서 나오는 조음기관 소리(심리적 느낌소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문헌상으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농경생활 시대인 고조선 및 부족국가 시대에 있었던 무속의식 · 제천의식 · 전쟁의식 · 노동 · 집단무용 등과 더불어 불리던 속요와 합창에서 비롯되어 그것들이 전승가요로 정착되었다. 문헌상의 기록은 현전 고대가요 중 가장 오래된 향가에서 볼 수 있다.
≪삼국유사≫와 ≪균여전≫에 실린 향가 25수 가운데의 19수에서, 특히 10구체 형식의 향가에서 아홉째 구의 첫마디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구절에 해당한다.
10구체 향가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구절 즉, ‘後句, 落句, 後言, 隔句……’ 등은 어떤 구의 명칭으로 보기는 어렵고 그보다는 그 자리에 있을 감탄적 · 조율적 구절(句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 렴)의 명칭으로 보는 쪽이 옳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는 보기로는, 바로 그 자리에(다른 작품에서) ‘嘆曰, 打心, 病吟, 阿也, 阿耶, 阿邪, 阿邪也’ 들로 대치되었다는 사실이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악학궤범≫에 실린 고려가요로 알려진 <처용가> · <동동>에서 ‘어와, 아으’ 등으로 이어졌고 조선조의 가사와 시조작품들에서 ‘어와, 아이야, 어즈버, 어사와……’로 이어져 왔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민요 · 창가와 대중가요에서 ‘매김노래, 후렴’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주로 가창하는 노래에서 감흥과 리듬에 연관된 구절과 어절이었던 만큼, 그것을 시어의 의미기능에 크게 비중을 두어 생각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모두 단순한 소리가락의 표현으로만 볼 수 없다.
그 시적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① 연(聯)과 연을 나누는 분렴신호이다. ② 노래를 부를 대 호흡조절의 대문이 된다. ③ 본 시가의 소박한 기조운율을 이룬다. ④ 그 시가의 표현상의 특성을 표현하기도 한다. ⑤ 민요나 창가에서는 창의 리더(導唱, pre'lude)의 구실도 하고 합창의 대문이 되기도 한다.
⑥ 시조(가사 · 단가)에서는 문맥상 · 표현기교상 정점(climax, accent)과 여운(trailing, echo)의 구실을 한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한국 시가문학상 특징의 하나이며 특히, 전통적 음성 운율상, 구문적 문체상 소박한 원형(archetype)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한국시가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구조는 문장 배열상 · 어형상 · 음성상의 세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 앞보더 랜드 3 슬롯 머신(初飮)
“듥기둥 방해나 디히히얘/게우즌 바비나 지ᅀᅥ 히얘/아버님 어마님○ 받ᄌᆞᆸ고 히야해/남거시든 내머고리 히야해 히야해.”(相杵歌, 時用鄕樂譜) “에헤야 에헤야/半空에 솟은 고산준령을/거침없이 넘어가자.”(樵童謠, 경상북도 상주지방 민요)
(2) 가운데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中飮)
“비오다가 개야아 눈하 디신 나래/서린 석석자리 조ᄇᆞᆫ 곱도신 길헤/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게 너우지/잠ᄯᅡ간 내니믈 너겨 깃ᄃᆞᆮ 열명길헤 자라오리잇가.”(履霜曲, 樂章歌詞)
(3) 뒷보더 랜드 3 슬롯 머신(後飮)
“德으란 곰ᄇᆡ예 받ᄌᆞᆸ고/福으란 님ᄇᆡ예 받ᄌᆞᆸ고/德이여 福이라호ᄂᆞᆫ/나ᄋᆞ라 오소이다/아으 動動다리.”(動動, 樂學軌範) “가시리 가시리잇고/나ᄂᆞᆫ ᄇᆞ리고 가시리잇고/나ᄂᆞᆫ 위증즐가 太平盛代.”(가시리, 樂章歌詞)
(1) 어휘종류
① 소리시늉말(擬聲餘音) : 리로리런나 로리라리로런나-악기소리시늉 입말소리(九天, 時用鄕樂譜), 허누자 척실누-널뛰는 소리시늉 입말소리(널뛰기노래 지방민요).
② 뜻말(語辭餘音) : 아소 님하(思母曲-樂章歌詞 · 時用鄕樂譜, 鄭瓜亭曲-樂學軌範), 긔 엇더해잇고(翰林別曲, 樂章歌詞 · 樂學軌範). 절우자 절우자(모심기노래, 지방민요).
③ 소리말 뜻말 섞임(擬聲語辭混成餘音) : 다롱다로리 三城大王(三城大王, 時用鄕樂譜), 어루마 둥둥 내 사랑아(신난봉가, 지방속요).
(2) 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구의 어절구성에 따른 유형별 기표표
다음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지닌 고려가사 16수와 시조(珍本靑丘永言 소재) · 가사(이상보외 공저 가사집) · 민요(임동권 민요집) 등 720수를 대상으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을 가려내어, 작품 단위 및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구 단위로, 어절 또는 구절의 각각 결합상태를 분석하고 통계를 내어 기호화한 것이다.
{{T58779_00.gif}}
위의 기호 a, b, c, d는 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구 안에서 같은 어절이나 구절을 단위별 한 기호로 표시한 것이다. 좌우는 같은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줄(1 余音行)이며, 상하는 다른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줄을 말한다. 또 괄호 안의 숫자는 한 작품에서 나타나는 빠르기의 순서이다.
이상으로 보아 한 작품 안에서 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의 어절구조는 2,3어구절로 된 것이 비교적 많고, 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안에서 같은 것끼리 되풀이되는 것이 많으며, 또 두 줄 형식이 많음을 볼 수 있다.
(3) 음절구조
① 단음절형 : 위(翰林別曲), 아(履霜曲), 흥(흥타령, 속요), 허(자진난봉가, 속요). ② 두 음절형 : 阿也(祭亡妹歌, 鄕歌), 어와(思美人曲), 야루(竹枝詞). ③ 세 음절형 : 어긔야(井邑詞, 樂學軌範), 아즐가(西京別曲, 樂章歌詞 · 樂學軌範), 어즈버(시조).
④ 네 음절형 : 두어령셩, 다링디리(西京別曲), 노나느니, 닌니루나(行軍樂, 12歌詞의 하나). ⑤ 다섯 음절형 : 다리러디러(雙花店, 樂章歌詞). 얄라리얄라(靑山別曲, 樂章歌詞).
이 밖에 6음절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3+3, 2+4, 4+2의 구성이고, 7음절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3+4, 4+3, 2+2+3…… 등으로 나타난다. 그 예로는 다로리 거시로(雙花店), 어럴럴 상사뒤야(樵夫歌), 나니난실네요, 네루난실네루(山念佛, 속요)가 있다.
결국 시가에서의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1음절어 내지 2음절어가 앞뒤에 붙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한국시가의 음절수는 2,3음절이 주된 바탕이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살어리 살어리랏다/靑山에 살어리랏다/멀위랑 다래랑 먹고/靑山에 살어리랏다/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靑山別曲).”,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아리랑).” 등에서 볼 수 있다.
(1) 모음(母音)-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어구 음절 구성에서
① 양성모음과 음성모음 : #/a/+/i, o/-는 밝고 경쾌한 느낌을 불러 일으킨다. 얄리 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靑山別曲),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강강수월래(圓舞謠).
#/ə/+/u, -/-는 어둡고 슬픈 느낌을 준다. 어노 어노 어한이 넘차 너노(香徒歌, 엘레지), 너화늘 어허늘(輓歌, 민요).
(2) 자음(子音)-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어구 음절 구성에서
① 거센날숨소리(多氣音):# · kh, ○, ○, h · 이런 소리들이 있는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힘차고 거친 느낌을 나타낸다. 쾌지나 칭칭 나네(집단 원무요, 민요), 히얘(相杵歌), 오호(달구질노래, 민요), 옹해야(보리타작노래 민요).
② 콧소리(鼻腔共鳴音)-보더 랜드 3 슬롯 머신 어구 음절 구성에서 : #/n, l, ŋ/소리를 음절 끝소리로 가진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들은 명랑한 느낌과 여운을 낳게 한다. 아으 動動 다리(動動), 강강수월래 (원무요, 민요), 노런나 오리 리라리로런나(別大王, 時用鄕樂譜). 늴니리야 늴니리야(늴니리타령).
(3) 음성률과 음위율
한국어는 성조어(tone language)가 아니므로 서양 인구어의 영시 · 독일시와 같이 작시법(prosody)이나 율격소(metric, prosodeme)가 없다. 또한, 중국 옛 시처럼 압운(rhyme) 규칙도 없다. 다만, 음수율이 비교적 정형성을 지닌 시가(가창성을 지녔던 전통시가)에 남아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에서도 어떤 율격이나 정형시와 같은 규칙성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시가문학(가창시대 가사로의 전승문체)상 하나의 특성이며, 그것은 현대시문학에 별다른 영향을 끼쳤다고는 보기 어렵다.
다만, 민요풍의 자유시 또는 가요의 가사나 종교적 시가(찬송가)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고, 시조에서는 구절상의 정형성(3章 6句 12語節)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한국 시(특히 시조와 같은)의 문체적 특성은 줄(行), 구절, 어절의 배합에 있다.
이 보더 랜드 3 슬롯 머신은 한국 고전음악과 고전시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소재이며, 또한 우리 겨레가 예로부터 창조해 오던 서정시의 옛 모습의 바탕을 가장 오래도록 지니고 있는 원형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