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야은집 ()

유교
문헌
고려 후기의 학자, 길재의 시 · 서(序) · 전 · 계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의 학자, 길재의 시 · 서(序) · 전 · 계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초간본은 문인 박서생(朴瑞生)이 출간하였다고 하나 전해지지 않고 있다. 1573년(선조 6) 당시 선산부사 윤지형(尹之亨)의 주선으로 길재의 5대손 회(誨)가 흩어져 있는 시문과 역대 제현들의 찬영(讚詠)을 모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의 목판본으로 ≪야은선생언행록 冶隱先生言行錄≫을 간행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의 병화로 판목과 책이 모두 소실되자 1615년(광해군 7) 6대손 흥선(興先)·종선(宗先) 등이 다시 역대 임금들의 사제문(賜祭文)과 금오(金烏)·오산(吳山) 두 서원의 창설 사실 등을 더 보태 ≪야은선생언행습유 冶隱先生言行拾遺≫라는 이름으로 간행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내용만 더 첨가되었을 뿐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의 목판본 그대로였다.

그리고 200여 년이 지난 1858년(철종 9)에 이르러 전에 미처 발췌하지 못했던 시문과 길재에게 관계되는 모든 기문(記文) 등을 수집,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을 간행하였다. 이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3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서 후손 면주(冕周)의 요청에 의해 송내희(宋來熙)가 교정을 보고 발문을 쓴 것이고, 다른 하나는 4권 2책의 목판본으로서 후손 민헌(民獻)·민익(民益) 등의 요청에 의해 이휘령(李彙寧)이 교정을 보고 발문을 쓴 것이다.

이와 같이 같은 해에 간행된 책이 두 종류로 나뉘게 된 이유는 어떤 파벌이 작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두 차례의 복간이 있었다. 첫 번째는 1915년≪삼은집 三隱集≫ 속에 포함되어 원집 1책만 복간되었고, 두 번째는 1959년≪여계명현집 麗季名賢集≫ 속에 포함되어 원집과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3권 1책본이 복간되었다.

국역에 있어서는 1965년에 원집과 4권 2책본의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을 대본으로 한 길씨 종문회(吉氏宗門會)의 국역 간행이 있고, 1980년에 원집과 3권 1책본의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을 대본으로 한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국역 간행이 있다. 또, ≪한국명저대전집 韓國名著大全集≫과 ≪한국사상대전집 韓國思想大全集≫ 속에 포함되어 국역 간행된 바 있으나, 이는 모두 길재의 본저만을 발췌한 것이다.

이 책의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을 살펴보면, 원집 상권에는 길재의 세계표(世系表)·유상(遺像)·유상찬(遺像讚)·연보와 아울러 본저의 시·서(序)·전(箋)·계(啓)를 싣고, 끝에 박서생이 쓴 행장을 붙였다.

중권에는 길재에 대해 추증을 청한 추증전(追贈箋)·추증첩(追贈牒)을 비롯, ≪삼강행실≫·≪여지승람≫ 등에서 발췌한 사실과 금오·오산서원의 봉안문, 그리고 사제문·태학생소어(太學生疏語)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실었다.

하권에는 이색(李穡)·권근(權近)·이황(李滉) 등 역대 제현들이 쓴 찬영시(讚詠詩) 60여 수와 지주비음기(砥柱碑陰記)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싣고, 끝에 최응룡(崔應龍)·장현광(張顯光) 등이 쓴 행록초간발(行錄初刊跋)을 붙였다.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는 3권 1책본과 4권 2책본 똑같이 첫 권에 야은의 본저인 시·뇌(誄)·찬(贊)·서(書)·행록을 싣고, 이하 각 권에는 양 본 똑같이 서원중수기·어제시(御製詩)·사전사적(賜田事蹟)·안방준문답질의서(安邦俊問答質疑書)·입은사적(入隱事蹟) 등과 최석정(崔錫鼎)·조헌(趙憲)·송명흠(宋明欽) 등 역대 제현들의 찬영시를 실었다.

대개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길재의 본저는 원집 상권 일부와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첫 권 일부에 해당하는 시문 몇 편에 불과하고, 그 밖에는 모두가 그에 대한 예찬이나 각 문헌에서 발췌한 사실·기문 등이다. 그 중에도 본저에 속하는 <사태상박사전 辭太常博士箋> 2편과 <상재상계 上宰相啓> 1편은 후인의 의작(擬作)임을 의심한 기록이 본편 말미에 보이고, 또 <사태상박사전> 중 1편은 어함종(魚咸從)의 유고(遺稿) 중에도 실려 있다.

이와 같이 이 문집은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가 많지 않으나, <우음시 偶吟詩>·<산가서 山家序> 등 한두 편의 시문에서도 그의 지조와 포부를 엿볼 수 있고, 기타 역대 제현들의 찬영기문 역시 명실상부한 명문들이다. 특히, 여러 문헌에 산재해 있는 저자에 관한 모든 자료를 빠짐없이 발췌하여 본집에 첨부함으로써 저자를 연구,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순범(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학)
    • 항목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