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검증 안창후 ()

고전시가
인물
조선 후기에, 『한설당유고』, 「한설당」, 「명분설」 등을 저술한 문인.
이칭
계중(繼仲)
한설당(閒說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7년(숙종 13)
사망 연도
1771년(영조 47)
출생지
보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검증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한설당유고』, 「한설당」, 「명분설」 등을 저술한 문인.
개설

자는 계중(繼仲), 호는 한설당(閒說堂). 전라남도 보성출신. 아버지는 안세헌(安世獻)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효우학행으로 유림의 포상천거를 받았으나 벼슬에는 뜻이 없어 평생을 한설당에서 글벗들과 시문에 힘썼다.

1747년(영조 23)에 유교적 도덕을 기반으로 한 자신의 생활윤리를 연작시조로서 시조 24수와 슬롯 검증 1편과 함께 같은 제목의 한시문을 지었다. 그가 국문으로 시조와 슬롯 검증를 짓게 된 동기는 증조부인 안욱(安彧)이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 등과 사귀던 집안이었던 데에 있다.

이른바 호남가단의 중심지였던 담양, 장성의 인물들이 많은 국문시가를 지음으로써 보성의 한설당 집안에까지 그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이러한 지연과 인맥을 따라 「한설당(閒說堂)」 25가(시조 24수와 슬롯 검증 1편)도 나올 수 있었으며, 17세기에 보성에서 슬롯 검증 「남초가(南草歌)」를 지은 박사형(朴士亨)의 영향도 직접적으로 입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가 남긴 시조 24수에는 저마다 소제목을 붙였는데, 슬롯 검증의 소제목은 「명분설(名分說)」이다. 저서로는 문집 『한설당유고(閒說堂遺稿)』가 있다.

참고문헌

『한설당유고(閒說堂遺稿)』
『조선시대 시가의 연구』(이상보, 이회문화사, 1993)
「한설당 안창후의 시가 연구」(이상보, 『어문학논총』9, 국민대학교,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검증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검증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