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아보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병종의 하나인 아병의 보인.
이칭
이칭
아병보(牙兵保), 아병 보인(牙兵保人)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16세기 말
시행 시기
조선 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아보는 슬롯 꽁 머니 후기에 병종의 하나인 아병의 보인이다. 즉 '아병 보인'의 준말이다. 감사나 수령의 친병이었던 아병은 수어청과 총융청 등 중앙 군영에도 설치되었는데, 이들의 양식을 지원하여 주도록 하였던 병종이 아보이다.

정의
조선 후기, 병종의 하나인 아병의 보인.
내용

16세기 슬롯 꽁 머니 사회에 도적이 자주 발생하면서 관찰사수령주1의 필요성이 커졌고, 그 결과 16세기 말에 슬롯 꽁 머니이라는 병종이 신설되었다. 이후 17세기에는 5군영이었던총융청수어청에도 슬롯 꽁 머니이 설치되었다. 이후 슬롯 꽁 머니의 일부를 주2으로 삼아주3하는 슬롯 꽁 머니의 양식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이들이 슬롯 꽁 머니 보인, 즉 아보이다.

변천사항

16세기 말에군역을 져야 할 자원이 줄어들면서 지방군의 주력이 될 정병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졌고, 양인뿐 아니라주4으로도주5을 충정하였다. 형성 초기에 수하친병을 의미하였던 슬롯 꽁 머니은 지방군의 정식 병종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슬롯 꽁 머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유인책을 강구하였는데, 주6을 면제하여 주고주7, 즉 보인을 지급하여 주기도 하였다. 이들이 슬롯 꽁 머니이다.

슬롯 꽁 머니은 수어청과 총융청 등에 약 3,000명, 각 지방의 감영에 6,000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1681년(숙종 7)에는 수어청의 슬롯 꽁 머니 주8를 경청에 상번시키고 나머지를 보인으로 삼아 이들에게 쌀을 거두도록 하였다. 총융청도 6초를 입번군으로 삼고 나머지는 보인으로 하여 입번군의 양식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이는 당시 아영의 수효를 반으로 줄인 데 따른 도성 수비의 약화에 대한 대책으로 시행되었는데, 별도의 재정 지출이 없다는 이점 때문에 채택되었다. 이후 조련군이었던 슬롯 꽁 머니은 주9가 진행되면서 병력으로서의 효용성이 크게 저하되었고, 이미 수미군(收米軍)으로 운영되던 슬롯 꽁 머니와 크게 다를 바 없는 처지가 되었다.

의의 및 평가

감사나 수령의 친병으로 시작한 지방군인 아병은 수어청과 총융청 등 중앙 군영에도 설치되었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아보가 지급되었다. 이병과 아보의 증가는 슬롯 꽁 머니 후기 군역 자원의 운영에 있어서 큰 부담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김순남, 「16세기 지방군제의 동요: 아병의 형성배경」(『슬롯 꽁 머니시대사학보』 73, 슬롯 꽁 머니시대사학회, 2015)
송양섭, 「17 · 18세기 아병의 창설과 기능」(『슬롯 꽁 머니시대의 과거와 벼슬』, 집문당, 2003)
주석
주1

자기에게 직접 딸린 병졸.   우리말샘

주2

슬롯 꽁 머니 시대에, 군(軍)에 직접 복무하지 아니하던 병역 의무자. 정군(正軍) 한 명에 대하여 두 명에서 네 명씩 배당하여, 실제로 복무하는 대신에 베나 무명 따위를 나라에 바쳤다.   우리말샘

주3

번을 섬. 또는 상번을 함.   우리말샘

주4

공천(公賤)과 사천(私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나라의 일에 쓸 인부의 수효.   우리말샘

주6

집집마다 부과되는 부역.   우리말샘

주7

슬롯 꽁 머니 시대에, 평민이나 천민이 출역(出役)할 경우 역사에 나가지 아니한 여정(餘丁)을 한두 사람 보내어 집안일을 도와주던 일.   우리말샘

주8

약 백 명을 단위로 하던 군대의 편제.   바로가기

주9

슬롯 꽁 머니 후기에, 노동력으로 수취하던 군역(軍役)과 요역(徭役)을 현물로 대신하게 된 현상.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