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 (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무료 메가 슬롯 머신른다)

구비문학
작품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의 근원설화.
이칭
이칭
선유후부가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메가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의 근원설화.
개설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고도 하며, 중요한 일도 잊어버린 채 재미있는 일이나 놀이에 시간가는 줄 모를 때 자주 쓴다. 한자어로 ‘선유후부가무료 메가 슬롯 머신(仙遊朽斧柯說話)’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전설로도 일부 전해지고 있다. 황해도 평산읍(平山邑)에 가마골, 즉 부동(釜洞)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이곳에 선암(仙巖)과 난가정(欄柯亭)이 있다. 옛날 신선들이 이곳에서 바둑을 두었다고 전한다.

내용

옛날 한 나무꾼이 나무를 하러 산 속 깊이 들어갔다가 우연히 동굴을 발견했다. 동굴 안으로 들어가니 길이 점점 넓어지고 훤해지면서 눈앞에 두 백발노인이 바둑을 두고 있는 것이 보였다.

나무꾼은 무심코 서서 바둑 두는 것을 보고 있다가 문득 돌아갈 시간이 되었다는 생각이 들어 옆에 세워 둔 도끼를 집으려 했는데 도끼자루가 바싹 썩어 집을 수가 없었다.

이상하게 생각하면서 마을로 내려와 보니 마을의 모습은 완전히 바뀌어 있었다. 한 노인을 만나 자기 이름을 말하자, 노인은 “그분은 저의 증조부 어른이십니다.”라고 대답하더라는 것이다.

현황

6세기경 간행된 『술이기(述異記)』에는 진(秦)나라 때 왕질(王叱)이라는 나무꾼이 절강성 상류 구주의 석실산으로 나무를 하러 갔다는 서두로 시작되는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으며, 에버하르트(Eberhard, W.)가 채록한 중국 민담 중에도 우리나라의 것과 공통된 이야기가 구전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무료 메가 슬롯 머신는 신선사상에 바탕을 둔 것으로, 도교문화의 원산지인 중국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로 전파, 변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것은 전설처럼 구전되는 데 비하여 우리의 것은 완전한 민담으로 정착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민담으로 뿌리를 내리기 전까지는 전설로 전해 왔던 흔적이 엿보인다.

이 무료 메가 슬롯 머신는 속담의 유래담으로 구전되고 있지만, 이향세계(異鄕世界)를 여행하고 현세로 돌아오는 모티브가 중심이 되어 있어 이향세계무료 메가 슬롯 머신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참고문헌

강재철, 『한국속담의 근원무료 메가 슬롯 머신』(백록출판사, 1980)
손진태,『조선민족무료 메가 슬롯 머신의 연구』(을유문화사, 1947)
A Woodcutter Who Re-turned Home after a Hundred Years‘ Absence(In-hak Choi, A Type Index of Korean Folktales, Type 300, Myong Ji University Pub, 1979)
Die Zeit Vergeht(W. Eberhard, Typen Chinesischer Volksm{{%129}}rchen, Type 103, FFC120, 1937)
집필자
최인학(인하대학교, 국문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무료 메가 슬롯 머신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무료 메가 슬롯 머신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무료 메가 슬롯 머신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