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 슬롯 경주 진덕여왕릉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진덕여왕릉 좌측면
경주 진덕여왕릉 좌측면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28대 진덕여왕의 능. 왕릉.
이칭
이칭
진덕여왕릉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경주 진덕여넷마블 슬롯(慶州 眞德女王陵)
분류
유적건조물/넷마블 슬롯/왕실넷마블 슬롯/고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넷마블 슬롯시 현곡면 오류리 산48번지 임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28대 진덕여왕의 능. 왕릉.
내용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9,498㎡. 넷마블 슬롯의 지름은 14.4m, 높이는 4m이다.

진덕넷마블 슬롯의 성은 김씨, 이름은 승만(勝曼)으로 신라 제27대 선덕넷마블 슬롯의 뒤를 이은 신라의 두 번째 넷마블 슬롯이며, 어머니는 박씨로 월명부인(月明夫人)이다.

647년에 왕이 되어 654년에 승하하였다. 7년간 왕으로 있는 동안 국력을 길러 고구려와 백제를 견제해 삼국통일의 토대를 닦았다. 죽은 뒤 사량부(沙梁部)에 장사지냈다는데 지금의 위치로 비정되고 넷마블 슬롯.

무덤은 구릉(丘陵)의 중간 부분에 넷마블 슬롯. 외부모습은 흙으로 덮은 둥근 봉토분[圓形封土墳]으로서 밑둘레에는 병풍(屛風) 모양으로 다듬은 판석(板石)으로 무덤 보호석을 마련하고 판석의 사이사이에는 12개의 탱석(橕石)을 끼워 넣어 방향에 따라 12지신상(十二支神像)을 새겼다.

판석으로 된 호석 위에는 장대석(長臺石)으로 된 갑석(甲石)을 올려놓았으나 뒤에 보수하여 원래의 장대석이 아닌 것도 넷마블 슬롯. 호석뿌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무덤 및 둘레를 따라 깐돌[敷石]을 놓고 그 밖으로 돌난간을 세웠는데 지금은 난간부재가 거의 없어졌다. 무덤 앞에 있는 축대와 통로는 최근에 만든 것이다.

능의 형식은 기본적으로 선덕여왕 이후의 것과 동류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호석에 12지신상을 새겨놓은 성덕넷마블 슬롯(聖德王陵)·경덕넷마블 슬롯(景德王陵)·원성넷마블 슬롯(元聖王陵)·헌덕넷마블 슬롯(憲德王陵)·흥덕넷마블 슬롯(興德王陵)·김유신묘(金庾信墓), 경주 구정동 방형분(方形墳) 등과 비교해볼 때, 조각수법이 가장 뒤져 있다.

의의와 평가

한편, 기록에 나타나는 매장지인 신라의 사량부는 현재의 경주 흥륜사지(興輪寺址) 일대로 추정되고, 아울러 12지신상의 조각수법이 뒤진다는 점 등을 들어 진덕여왕의 능이 아니고 신무넷마블 슬롯이라는 주장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넷마블 슬롯연구』(이근직, 학연문화사, 2012)
『넷마블 슬롯지역문화유적보존개발계획』(경상북도·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1986)
『문화재대관』사적편(문화재관리국, 1975)
「넷마블 슬롯십이지상의 분석과 해석」(강우방,『불교미술』1,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