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슬롯 신대우 ()

신대우 글씨
신대우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동지중추부사, 동지돈녕부사,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의부(儀夫)
완구(宛丘)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5년(영조 11)
사망 연도
1809년(순조 9)
본관
평산(平山)
주요 관직
동지중추부사|동지돈녕부사|호조참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윈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동지중추부사, 동지돈녕부사,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의부(儀夫), 호는 완구(宛丘). 할아버지는 우승지 신택하(申宅夏)이며, 의영고판관(義盈庫判官) 아버지는 신성(申晟)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84년(정조 8)에 음보(蔭補)로 선공감역(繕工監役)에 기용되어 사도시주부(司寺主簿)·동부도사(東部都事)·경릉령(敬陵令)을 거쳐, 9년 동안 음성·강동·청도의 수령을 지냈다.

1799년에 학문과 덕행의 훌륭함을 인정받아 원자궁(元子宮)의 요속(寮屬)으로 발탁되어 동궁(東宮: 뒤의 순조)을 보필하였으며, 3년 뒤에 동궁이 세자로 책봉되자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익위에 제수윈 슬롯다. 순조가 즉위한 뒤에 그 공로로 1801년(순조 1)에 우부승지에 제수윈 슬롯고 그로부터 수년간 열세 번이나 승지에 임명윈 슬롯다.

1804년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라 부총관(副摠管), 한성부좌·우윤을 거쳐 동지의금부사가 윈 슬롯다가 얼마 뒤 공조참판에 제수되고 경연특진관으로 발탁윈 슬롯다. 1807년에 동지중추부사·동지돈녕부사가 윈 슬롯고, 1808년에 호조참판의 자리에 올랐다가, 이듬해에 성천에서 죽었다. 젊은 시절에 이덕윤(李德胤)을 비롯하여 이광려(李匡呂)·남건복(南建福)·이영익(李令翊)·이충익(李忠翊) 등과 교유관계가 깊었다. 시문(詩文)과 서예(書藝)에 능하였다.

저서로는 『완구유집(宛丘遺集)』이 전하여진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완구유집(宛丘遺集)』
『평산신씨문헌록(平山申氏文獻錄)』
관련 윈 슬롯 (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윈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윈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윈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윈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