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기자지 ()

목차
관련 정보
기자지
기자지
조선시대사
문헌
1879년 정인기 등이 기자에 관한 사실과 논평 등을 엮어 간행한 역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79년 정인기 등이 기자에 관한 사실과 논평 등을 엮어 간행한 역사서.
내용

9권 3책. 고활자본. 1580년(선조 13)에 윤두수(尹斗壽)가 편찬한 『m 2 슬롯지』가 자료집으로서 m 2 슬롯에 관한 사실을 빠뜨린 것이 많아 이를 다시 모아 수록하고, 체재를 재정비하기 위해 간행하였다.

권수(卷首)에는 m 2 슬롯상(箕子像) · 부찬(附贊) · m 2 슬롯수필(箕子手筆)이 있고, 윤두수의 『m 2 슬롯지』에 실린 사적도(事蹟圖)와 사기도(祠基圖) 외에, 홍범구주(洪範九疇)에 관한 도해와 성(成) · 탕(湯)으로부터 m 2 슬롯에 이르는 m 2 슬롯의 보계도(譜系圖)가 실려 있다.

세계는 m 2 슬롯가 동래(東來)한 때로부터 m 2 슬롯조선의 마지막왕 애왕(哀王:準)이 남하한 때까지의 41대 929년의 세계와 애왕이 남하하여 마한을 세운 때로부터 마한이 멸망하는 계왕(稽王)에 이르기까지의 9대 177년의 세계를 수록하고 있다.

홍범 · 전(傳) · 녹(錄) · 사전(祀典) · 치제문(致祭文) · 어제치제문(御製致祭文) · 부 · 시 · 사(辭) · 조(操) · 가(歌) · 찬 · 논 · 설 · 어(語) · 변 · 서(序) · 기 · 발 · 비문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홍범」m 2 슬롯 홍범구주에 관한 논설이, 「어제치제문」m 2 슬롯 명나라 태종(太宗) 및 조선의 태조로부터 정조의 치제문이 수록되어 있다.

발문m 2 슬롯 정인기 외 7인, 교정m 2 슬롯 이손영(李巽榮) 외 5인, 수집(蒐輯)m 2 슬롯 정이기(鄭頤基) 외 3인, 선서(繕書)m 2 슬롯 권란(權欗) 외 5인, 감인(監印)m 2 슬롯 이규화(李圭華) 외 3인이 참가하였다. 서문은 기정진(奇正鎭)이, 발문은 송병선(宋秉璿)이 썼다.

참고문헌

『조선전기사회사상연구(朝鮮前期社會思想硏究)』(한영우, 을유문화사, 1983)
「m 2 슬롯조선(箕子朝鮮)에 대한 인식(認識)의 변천(變遷)」(박광용, 『한국사론(韓國史論)』6, 서울대학교, 198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m 2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m 2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