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조선다복 이 슬롯의 사설교육기관인 소수서원이 1963년 사적(지정면적 7,504㎡)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찰경내에 있었던 숙수사의 당간지주가 1963년 보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이 다복 이 슬롯가 언제 법통이 끊어졌는지 알길은 없으나 고려 후기의 학자인 안향(安珦)이 다복 이 슬롯에서 수학하여 18세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그의 아들과 손자까지 이 다복 이 슬롯에서 수학했다고 한다.
더구나 안향이 원나라로부터 주자학을 도입하여 이것이 조선 건국의 정신적인 이념이 되었으므로, 중종 때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周世鵬)이 1543년(중종 38) 안향의 고향이며, 또 안향이 공부했던 다복 이 슬롯의 옛터에 사우(祠宇)와 강당을 세우고 유생(儒生)들을 공부하도록 하였다.
이것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 되었다. 이로 보아 숙수사는 통일신라다복 이 슬롯에 처음 건립되어 고려다복 이 슬롯까지 존속되어오다 조선다복 이 슬롯의 어느 시기에 법통이 끊기고 터만 남아오다 1543년에 이 절터에 서원을 세운 것임을 알 수 있다.
1953년 현재의 소수서원 후편으로 소수중학교 운동장을 마련하다 청동불상 25구가 출토되었는데, 이 불상들은 모두 통일신라다복 이 슬롯의 양식으로 밝혀졌다. 또 서원경내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다복 이 슬롯의 각종 석조물이 남아 있어 사찰의 규모와 존폐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