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숙수사지 ()

목차
관련 정보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정측면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정측면
건축
유적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다복 이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
내용

현재는 조선다복 이 슬롯의 사설교육기관인 소수서원이 1963년 사적(지정면적 7,504㎡)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찰경내에 있었던 숙수사의 당간지주가 1963년 보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이 다복 이 슬롯가 언제 법통이 끊어졌는지 알길은 없으나 고려 후기의 학자인 안향(安珦)이 다복 이 슬롯에서 수학하여 18세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그의 아들과 손자까지 이 다복 이 슬롯에서 수학했다고 한다.

더구나 안향이 원나라로부터 주자학을 도입하여 이것이 조선 건국의 정신적인 이념이 되었으므로, 중종 때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周世鵬)이 1543년(중종 38) 안향의 고향이며, 또 안향이 공부했던 다복 이 슬롯의 옛터에 사우(祠宇)와 강당을 세우고 유생(儒生)들을 공부하도록 하였다.

이것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 되었다. 이로 보아 숙수사는 통일신라다복 이 슬롯에 처음 건립되어 고려다복 이 슬롯까지 존속되어오다 조선다복 이 슬롯의 어느 시기에 법통이 끊기고 터만 남아오다 1543년에 이 절터에 서원을 세운 것임을 알 수 있다.

1953년 현재의 소수서원 후편으로 소수중학교 운동장을 마련하다 청동불상 25구가 출토되었는데, 이 불상들은 모두 통일신라다복 이 슬롯의 양식으로 밝혀졌다. 또 서원경내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다복 이 슬롯의 각종 석조물이 남아 있어 사찰의 규모와 존폐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다복 이 슬롯지출토동불(宿水寺址出土銅佛)」(진홍섭, 『고고미술』12, 한국미술사학회, 1961)
「다복 이 슬롯지출토불상(宿水寺址出土佛像)에 대(對)하여」(김재원, 『진단학보』19, 195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다복 이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다복 이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