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g 슬롯 수민묘전 ()

목차
관련 정보
수민묘전
수민묘전
의약학
문헌
조선후기 제22대 왕 정조가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중에서 우리 풍습에 적합한 것을 모아 엮은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g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제22대 왕 정조가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중에서 우리 풍습에 적합한 것을 모아 엮은 의서.
내용

4권 2책. 필사본. rtg 슬롯는 젊어서부터 의방서를 즐겨 읽어왔고, 선왕인 영조가 아플 때 10년 동안이나 친히 옆에서 모셨으며, 자신이 병이 났을 때에도 스스로 의약(議藥: 의약처방을 논의함)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 책의 서문에는 “의(醫)는 군생(群生)을 구제하는 것이므로 사친자(事親子: 어버이를 모시는 아들)가 가히 의를 알지 않으면 안 된다. 의가 어찌 천한 것이겠는가. 우리 동방풍속이 방술(方術: 방법과 기술)에 종사하기를 부끄러워한다. 이것이 어찌 숭유(崇儒)의 소이겠느냐. 의도 또한 유술(儒術) 중의 일단이다. 내가 어렸을 때 의서를 탐독하여 병술년(丙戌年)부터 병신년(丙申年)까지 선대왕의 질병을 시측(侍側: 옆에서 모심)하기 위하여 대(帶)를 풀지 않던 10년 동안에 맥결약성(脈訣藥性: 진맥의 비결과 약의 성품)에 방통(旁通: 자세히 앎)한 바 있다. 그러나 인품의 금고(今古)가 다르고 동서의 풍기(風氣: 풍속)가 같지 않다. 고금의 의서 중에 우리나라의 소용에 적합한 것은 오직 양평군(陽平君)허준(許浚)의 『동의보감』 하나뿐이다. 그러나 논리논방(論理論方)이 서로 착잡하여 체례(體例: 체제와 사례)가 정제(整齊: 정연함)함이 결여되어 있다. 내가 그 예를 좀 고쳐 그 정화(精華)를 찰(擦)하고 또 탕액(湯液) 각방으로써 따로 속편을 만들어 ‘rtg 슬롯’이라 이름하였다.”라고 적혀져 있다.

즉, 정조는 우리나라 옛 풍속이 방술을 천하게 여기는 것을 개탄하고 허준의 『동의보감』 중에서 우리의 풍습에 적합한 것을 친히 선집하여 각 병문들의 증론(證論)과 맥결(脈訣)을 중심으로 『rtg 슬롯』 4권을 초록하고 속편으로 탕액 제방들의 치료법 5권을 편성하였다.

속편 5권은 이미 산일되고 다만 『수민묘전』 4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rtg 슬롯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고, 정조의 시문(詩文)·윤음(綸音: 임금의 말씀)·교명(敎命: 왕비·세자를 책봉하는 임금의 명령) 등을 편집한 『홍재전서(弘齋全書)』 중에도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rtg 슬롯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79)
관련 rtg 슬롯 (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g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rtg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rtg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rtg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