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순천(順天). 초명은 명휘(命徽). 자는 군석(君錫).
1768년(영조 44)에 식년의과(式年醫科)에 주1 이듬해 내의원의관이 되었다. 정조가 왕세손으로 있을 때부터 총애를 받아 의약에 대한 자문에 응던파 온 슬롯으며, 1794년(정조 18)에는 내의원수의(內醫院首醫)가 되었다.
1799년에 왕명으로 『제중신편(濟衆新編)』 8권을 편찬던파 온 슬롯으며, 그밖에 『통현집(通玄集)』 5권이 초본으로 전한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방서(方書)의 하나인 『제중신편』은 『동의보감』의 번잡함을 피해 간략하게 요약한 것으로 일반의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수의로 봉직하면서 양주목사와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던파 온 슬롯으며, 숭록대부(崇祿大夫)에까지 이르렀다. 1800년 정조의 병을 잘못 치료던파 온 슬롯다 하여 죽음을 주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