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그 슬롯 수광대 ()

목차
민간신앙
개념
재수굿의 뒷전거리에서 걸립 · 터주 등과 함께 모셔지는 귀신. 잡귀잡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에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재수굿의 뒷전거리에서 걸립 · 터주 등과 함께 모셔지는 귀신. 잡귀잡신.
내용

중부지역 굿의 뒷전에서 모셔 놀아진다. 수에그 슬롯라는 용어는 에그 슬롯패에서 널리 쓰이던 것이 아니다. 전통놀이패 가운데 풍물패의 상쇠를 수에그 슬롯라 부르기도 하고 포장굿패라 불리는 유랑 인형극패의 우두머리를 또 수에그 슬롯라 하는 등 두 놀이패에서만 이 용어가 쓰였다.

이 수에그 슬롯들의 넋과 제가집 조상 가운데 에그 슬롯였거나 놀이패와 관련 있는 승려였던 이들의 넋을 뒷전에서 놀리는 것이다. 그런 수에그 슬롯의 넋이 어떤 연유로 그렇게 잡귀잡신의 한 종류가 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풍물은 원래 마을굿의 걸립(乞粒)에서 유래·발전한 것이다. 인형극패를 포장굿패라 부르는 데서 그것이 굿과 연관되어 있었음을 알게 한다.

이렇게 굿과 관련을 갖는 놀이패의 우두머리이기에 조선조 중·후기경 그 넋이 하나의 하위신령 개념으로 형성되었을 것으로 짐작될 뿐이다. 뒷전의 수에그 슬롯거리를 놀 때면 바가지로 만든 가면을 쓰고 머리에 수건을 동여매고는 놀았다.

조선조에 천민으로 천대받던 수에그 슬롯이나 민중연희의 뛰어난 예술가이기에 그 넋을 기리고 또한 제가집 조상 가운데 그런 정신을 지향하던 에그 슬롯나 승려를 받들어 놀리는 뜻이 거기에 있다.

참고문헌

「잡귀잡신(雜鬼雜神) 연구」(조흥윤, 『종교신학연구』제1집, 서강대학교 종교신학연구소,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에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에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에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