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송림 석탄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황해북도 송림시에 있는 팽이토기 등이 출토된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유적.
유적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소재지
황해북도 송림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 스 캐터석탄리유적은 황해북도 슬롯 스 캐터시에 있는 팽이토기 등이 출토된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유적이다. 슬롯 스 캐터석탄리유적의 주거지에서는 팽이토기와 턱자귀를 비롯한 여러 유물이 출토되었다. 주거지는 내부 구조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지며, 이 중 기둥구멍이 전혀 없거나 벽체에만 있는 형태는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지를 대표한다. 슬롯 스 캐터석탄리유적은 주거지와 출토 유물로 볼 때 팽이토기 문화의 이른 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 계속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정의
황해북도 송림시에 있는 팽이토기 등이 출토된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슬롯 스 캐터석탄리유적(松林石灘里遺蹟)은 황해북도 슬롯 스 캐터시에 있다. 대동강으로 흐르는 매상천 옆의 낮은 야산에 자리하며, 1964년과 1965년, 1971년, 1973년 4차에 걸쳐 발굴 조사가 되었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의 주거지 1기,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32기와 주1 2기를 비롯하여 고구려 무덤 등이 확인되었다.

형태와 특징

신석슬롯 스 캐터 주거지는 상당 부분 파괴되어 원래의 모양을 알기 어려운 상태였으며, 줄무늬가 새겨지고 바닥이 둥근 모양의 토기와 슴베 없는 주2등이 출토되었다.

청동슬롯 스 캐터 주거지는 모두 직사각형으로 바닥이 불다짐 처리되고 화덕이 설치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대동강 유역 청동슬롯 스 캐터 주거지의 일반적인 모습을 띤다. 주3의 배치에 따라 크게 세 슬롯 스 캐터로 나누어진다.

첫째 종류는 기둥구멍이 전혀 없거나 벽체에만 있는 것이고, 둘째 종류는 첫째 종류의 바닥 중앙부에 장축을 따라 기둥구멍이 한 줄로 늘어서 있는 것이다. 셋째 종류는 세 줄의 기둥구멍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각 종류의 슬롯 스 캐터는 출토 유물에 의해 첫째→둘째→셋째 종류로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첫째 종류의 주거지는 대동강 유역 청동슬롯 스 캐터 주거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둘째와 셋째 종류의 주거지는 극히 일부의 유적에서만 확인되고 있을 뿐이다.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대동강 유역 청동슬롯 스 캐터의 특징적 유물인 주4주5를 비롯하여, 긴목항아리, 간돌도끼, 반달돌칼, 간돌검, 간돌화살촉, 대팻날토끼, 돌끌, 별모양석기, 달모양석기, 가락바퀴, 그물추 등이 있다. 돌널무덤은 바닥과 벽을 널돌로 조립한 것이며,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의의 및 평가

슬롯 스 캐터석탄리유적은 주거지와 출토 유물을 통해 볼 때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인 팽이토기 문화의 이른 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 계속된 유적이다.

연대에 대해 북한에서는 서기전 4000년경부터 2000년을 전후한 시점으로 보는 반면, 남한에서는 대체로 상한(上限)을 서기전 1500∼1200년경으로 보고 있어 견해의 차이가 큰 편이다.

참고문헌

논문

문수균, 「서북한지역 각형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고고학』 10-2, 중부고고학회, 2011)
최종모 · 김권중 · 홍주희, 「각형토기문화유형의 연구」(『야외고고학』 창간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6)
림룡국, 「팽이그릇시기 집자리의 연원」(『조선고고연구』 2,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2002)
서국태, 「팽이그릇문화의 편년에 대하여」(『조선고고연구』 2,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96)
리기련, 「석탄리슬롯 스 캐터발굴보고」(『슬롯 스 캐터발굴보고』 1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0)
박선훈 · 리원근, 「석탄리 원시 슬롯 스 캐터 발굴 중간 보고」(『고고민속』 3, 사회과학원 출판사, 1965)
리원근 · 박선훈, 「원시 시대의 큰 부락터를 발견」(『고고민속』 3, 사회과학원 출판사, 1964)
주석
주1

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서 쓴 무덤. 주로 슬롯 스 캐터 시대에 썼다.   우리말샘

주2

돌을 갈아 화살의 머리에 붙인 첨두기. 신석기 시대에 처음 만들어져 주로 슬롯 스 캐터 시대에 제작되고 사용되었으며, 초기 철기 시대에도 일부가 지속되었다. 원거리의 짐승을 잡는 수렵용으로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3

움집터의 바닥 같은 데에 기둥을 세우기 위하여 파 놓은 구멍.   우리말샘

주4

바닥이 좁고 윗부분이 벌어져 올라가 쇠뿔과 비슷한 팽이 모양을 한 토기. 슬롯 스 캐터 시대에 청천강 남쪽부터 한강 북쪽 서부 지방에서 만들어졌다.   우리말샘

주5

몸 중간에 턱지게 만든 자귀. 평안남도 및 황해도 지역의 슬롯 스 캐터 시대 팽이 토기 유적에서 주로 나온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