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 송도지 ()

목차
관련 정보
송도지
송도지
인문지리
문헌
송도유수 정창순이 송도(현 개성시)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782년에 편찬한 읍지.
• 본 항목의 램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송도유수 정창순이 송도(현 개성시)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782년에 편찬한 읍지.
내용

7권 3책. 목활자본. 내용 구성은 제1책에 서문(序文)·발문(跋文)·목록·범례·지도에 이어 권1에 고려세기(高麗世紀)·국조기사(國朝紀事)이 램 슬롯.

권2에 강역(疆域)·연혁(沿革)·관원(官員)·군명(郡名)·성곽(城郭)·봉수(烽燧)·부방(部坊)·성씨(姓氏)·호구(戶口)·전제(田制)·풍속(風俗)·토산(土産)·산천(山川)·형승(形勝)·제영(題詠)·학교(學校) 등으로 되어 램 슬롯.

제2책에는 권3에 궁전(宮殿)·사묘(祠廟)·관사(官舍)·누정(樓亭)·관방(關防)·병제(兵制)·직역(職役)·우발(郵撥)·교량(橋梁)·능묘(陵墓)·불우(佛宇), 권4에 고적(古蹟) 등이 램 슬롯.

제3책에는 권5에 인물(人物)·재행(才行)·충신(忠臣)·효자(孝子)·효부(孝婦)·열녀(烈女), 권6에 명신(名臣)·유수(留守)·경력(經歷)·도사(都事)·문과(文科)·음사(蔭仕)·사마(司馬)·무과(武科)·무남(武南, 附邊將), 권7에 부록이 각각 실려 램 슬롯.

서문·발문으로는 1648년(인조 26) 김육(金堉)이 쓴 송도구지서(松都舊誌序), 1700년 이돈(李○)의 송도구지발(松都舊誌跋), 1705년 엄집(嚴緝)의 송도구지발(松都舊誌跋), 1757년 오수채(吳遂采)의 송도속지발(松都續誌跋), 1782년 정창순의 송도지소지(松都誌小識) 등이 수록되어 램 슬롯.

서문과 범례에 의하면 김육이 유수로 부임하여 1648년에 개성의 최초의 지지를 만들고, 그 뒤 이돈·엄집이 2권으로 증수하였는데 이를 『램 슬롯구지』라 하였다. 다시 1757년 오수채가 1권을 증보하여 『램 슬롯속지』를 편찬하였으며, 정창순이 구지·속지를 1편으로 합하고 내용을 정정, 증보한 것이 이 책이라 하였다.

개성이 고려의 왕도였기 때문에 다른 읍지들과 달리 고려조에 관한 역사적인 기록, 역사적인 유물들이 매우 풍부하게 기재되어 램 슬롯. 특히 고려의 역사를 역대 왕별로 기록한 고려세기와 조선 태조부터 영조 27년까지의 사건이 기술된 국조기사 등은 역사적인 서술로서 이 읍지의 독특한 점이다.

그 밖에 성곽·부방·풍속·산천·학교·궁전·관사·능묘·고적조 등의 항목에 고려 시대 개성의 사회구조 및 경관을 살필 수 있는 내용과 시문이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어 좋은 자료가 되고 램 슬롯. 규장각도서에 램 슬롯.

이 밖에도 규장각도서에 김육이 편찬한 『송도지(松都誌)』 1책, 1802년 김문순(金文淳)이 편찬한 『송도속지』 2책, 1832년 임효헌(林孝憲)이 편찬한 『송경광고(松京廣攷)』 8책, 1830년 김이재(金履載)가 편찬한 『중경지(中京誌)』 등이 램 슬롯.

참고문헌

『램 슬롯지(松都誌)』
『램 슬롯속지(松都續誌)』
램 슬롯경광고(松京廣攷)』
『중경지(中京誌)』
『개성부지(開城府誌)』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램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램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램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