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당리 마을제 (한게임 슬롯 공략)

목차
관련 정보
제주 송당 본향당굿
제주 송당 본향당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국가유산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서 본향당신에게 한 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굿. 본향당굿.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송당리한게임 슬롯 공략제(松堂里한게임 슬롯 공략祭)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한게임 슬롯 공략특별자치도
종목
한게임 슬롯 공략특별자치도 시도무형유산(1986년 04월 10일 지정)
소재지
한게임 슬롯 공략특별자치도 한게임 슬롯 공략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게임 슬롯 공략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서 본향당신에게 한 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굿. 본향당굿.
개설

1986년 4월 10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송당리한게임 슬롯 공략제는 본향당신에게 한 해 한게임 슬롯 공략의 안녕을 기원하는 무속의 한게임 슬롯 공략제이다. 본향당신은 한게임 슬롯 공략 주민의 생활 전체를 수호해 주는 신이다.

당굿은 신년제(新年祭)인 정한게임 슬롯 공략3일의 신과세제, 내방신(來訪神)인 영등신에게 생업의 풍요를 비는 2한게임 슬롯 공략3일의 영등제, 추곡의 풍등을 위하여 천후 조절을 기하는 7한게임 슬롯 공략3일의 마불림제, 추수감사제 격인 10한게임 슬롯 공략3일의 신만곡대제 등 1년에 네 번을 시행한다.

그런데 영등제 · 마불림제 · 신만곡대제는 소규모의 개인적 기원형식으로 바뀌어 큰 굿이 없어지고, 신과세제만 한게임 슬롯 공략 각 호에서 참여하여 성대한 굿을 벌이고 있다.

내용

본풀이에 의하면 알송당의 신 소로소천국과 웃송당의 신 금백주는 부부신으로 아들이 18명, 딸이 28명인데 이 자녀들이 각 한게임 슬롯 공략로 분산하여 가서 그 한게임 슬롯 공략의 본향당신이 되었다고 한다. 즉 송당리 당신은 제주도 당신들의 원조(元祖)인 셈인데, 그 계보를 모두 설명하는 심방(무당)은 없다.

당은 웃송당의 당오름 밑 임야에 있는데, 자그마한 기와집으로 당집을 짓고, 당집 안에는 신의(神衣) · 신기(神旗) 등이 궤 속에 담겨 모셔져 있다. 당집 앞에는 돌로 제단이 마련되어 있다.

정월 13일 제일이 되면 아침에 한게임 슬롯 공략 각 가호에서 메 · 건어 · 돌래떡 등의 제물을 채롱에 차려와 제단에 즐비하게 포개다시피 진설해놓는다. 그러면 그 당의 전속무(專屬巫)인 매인심방이 소무가 치는 무악기 소리에 맞추어 노래와 춤으로써 굿을 집행해나간다.

그 순서는 크게 초감제, 본향듦, 자손들 산받음, 한게임 슬롯 공략 도액막음, 도진의 순으로 진행된다. 초감제는 무속의 모든 신을 청해 앉혀 참여한 각 가정의 행운을 비는 것이다. 본향듦은 본향신을 청해 들여 소지를 올려 한게임 슬롯 공략의 안녕함을 비는 제차이다.

자손들 산받음은 참가자들의 1년 운수를 점쳐주는 것이다. 한게임 슬롯 공략 도액막음은 한게임 슬롯 공략 전체의 액막이를 하는 제차이다. 도진은 청했던 신을 돌려보내는 제차이다.

이 당굿은 한게임 슬롯 공략도 당신들의 원조 당굿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고, 날로 사라져가는 당굿 중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게임 슬롯 공략도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한게임 슬롯 공략도, 198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현용준(제주대학교, 국문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게임 슬롯 공략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게임 슬롯 공략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게임 슬롯 공략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