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 슬롯 속회심곡 ()

악부 / 속회심곡
악부 / 속회심곡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휴정(休靜)이 지은 불교가사.
• 본 항목의 버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휴정(休靜)이 지은 불교가사.
구성 및 형식

「회심곡」에서 파생된 불교버 슬롯로, 『악부(樂府)』에 304구의 「특별회심곡」과 함께 실려 있는데, 죽은 뒤의 장면을 자상하게 노래하여 모두 476구로 늘어났다.

내용 및 평가

첫 구절인 “쳔디지의 분한 후에 삼라만상 니러ᄂᆞ니”는 「회심곡」과 같이 시작되지만 셋째구부터는 “세상쳔지 만물쥬ᇰ의 사람밧게 ᄯᅩ 잇ᄂᆞᆫ가.”라고 해서 「별회심곡」과 「특별회심곡」의 서두와 같은 버 슬롯으로 이어져 있다.

세상천지 만물 중에 사람이 가장 귀한 존재이니 석가여래의 공덕이 크며, 인간이 태어날 때 어머님께 살을 빌리고 아버님께 뼈를 타고, 제석님께 복을 받고, 산신님께 점지받아 석가여래가 제도해서 인간세상 밖으로 나왔으니 부모은혜가 망극하고 양육은덕을 갚을 길이 없다는 버 슬롯이다. 이 가사작품은 회심곡류에서 가장 장편이다.

참고문헌

『한국불교버 슬롯전집』(이상보, 집문당, 1980)
「불교버 슬롯(佛敎歌辭)의 연구(硏究) 상(上)」(이상보, 『국어국문학논문집』 7·8집, 동국대학교, 196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버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버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버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