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다이 속담론 ()

목차
관련 정보
속담론
속담론
구비문학
문헌
1953년 국문학자 김사엽이 속담에 관하여 저술한 학술서. 속담연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53년 국문학자 김사엽이 속담에 관하여 저술한 학술서. 속담연구서.
개설

A5판. 총 200면. 1953년에 『대학총서』 제3집으로 대건출판사(大建出版社)에서 간행하였다. 슬롯 다이에 대한 연구로는 역사적 고찰을 위주로 한 방종현(方鍾鉉)의 『조선의 슬롯 다이』에 이어 단행본으로는 처음 선을 보인 것이다.

내용

목차를 보면 자서(自序)에 이어 87권이나 되는 인용 서목을 소개하고 슬롯 다이론으로 들어가 서론 · 본론에 이어 색인으로 끝내고 있다.

서론에서는 슬롯 다이의 정의와 명칭, 그리고 역사적으로 슬롯 다이이 원용되었던 예증을 통하여 그 가치를 논하고 있다. 본론은 슬롯 다이의 의의와 형태 분류, 슬롯 다이의 발생과 변천, 우리나라 슬롯 다이의 특이성, 각국 슬롯 다이의 특이성 · 공통성, 슬롯 다이의 가치, 다도해(多島海) 슬롯 다이(俗談)의 지방적 특색, 문헌고(文獻考) 등 7장으로 나누어 논술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슬롯 다이의 의의로서 간결 · 의의 · 함미(鹹味)를 소개하고, 한국 · 중국 · 영국 · 아라비아의 슬롯 다이을 서로 대비하면서 설명하고 있다. 형태는 수사(數詞), 수량의 명시(明示)와 과장형 · 시가형 · 대우법(對偶法) · 생략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며, 분류는 역사적 구분과 내용상으로 구분하였다.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시가와 고대소설, 그리고 외국 슬롯 다이의 실례를 들면서 슬롯 다이의 발생과 변천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형태변와(形態變訛)의 경우까지 예를 들고 있다. 제3장에서는 도덕 · 인사 · 사회일반 · 가족주의제도 · 습속, 신앙, 미신 · 재료고 · 특수언(特殊諺)으로 나누어 슬롯 다이의 특이성을 논급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각국 슬롯 다이의 특이성과 그 공통성을 다루고 있는데, 중국 · 그리스 · 이탈리아 · 로마 · 스페인 · 영국 · 프랑스 · 독일의 슬롯 다이이 우리 슬롯 다이과 대비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슬롯 다이의 가치에 대한 일반론을 전개하고 있다. 제6장에서는 다도해 슬롯 다이, 특히 남해도와 제주도 슬롯 다이의 특이성을 많은 예증을 통하여 비교 고증하고 있다.

문헌고에서는 우리나라 선인들이 저술해 놓은 슬롯 다이집과 더불어 『조선이언(朝鮮俚諺)』·『슬롯 다이대사전(俗談大辭典)』 등 근대 슬롯 다이사전을 여러 방면으로 고찰 · 평가하고 있다. 색인[引用諺]에는 본문에 인용하였던 모든 슬롯 다이을 방언(邦諺) · 한언(漢諺) · 외국언(外國諺)으로 나누어 문장으로 싣고 있다.

참고문헌

『슬롯 다이사전(俗談辭典)』(이기문, 민중서관, 1962)
「슬롯 다이(俗談)」(김선풍, 『한국민속대관』6,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슬롯 다이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슬롯 다이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