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소율희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나말여초 시기에 경상남도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호족.
이칭
성명
김율희(金律熙)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섀도 어 슬롯 강화는 남북국시대 나말여초 시기 김해 지역을 근거지로 하여 활동한 호족이다. 형 소충자와 함께 김해 지역에서 군림하던 김인광을 몰아내고 김해부지군부사가 되어 세력가로 등장하였다. 섀도 어 슬롯 강화·소충자 형제는 선승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여 김해 지역이 선종의 요람지로 명성을 떨치는 계기를 만들었다. 진경대사 심희, 낭공대사 행적, 진철대사 이엄, 진공대사 충담 등이 그에 해당한다. 하지만 친신라적 입장으로 인해 신라가 쇠퇴하자 함께 소멸되는 운명을 맞았다.

정의
남북국시대 나말여초 시기에 경상남도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호족.
가계 및 인적 사항

섀도 어 슬롯 강화는남북국시대 주1 시기 김해 섀도 어 슬롯 강화을 근거지로 하여 활동한 호족(豪族)이다.

주요 활동

섀도 어 슬롯 강화는 나말여초 형 소충자(蘇忠子)와 함께 김해 지역에서 군림하던 김인광을 몰아내고 김해부지군부사가 되어 새로운 지방 세력가로 등장하였다. 그들 형제가 처음부터 김해 지역을 근거지로 한 것은 아니었다. 김인광이나 섀도 어 슬롯 강화 모두 진례성(進禮城)을 관직명에서 칭하고 있는데, 진례성은 김해부의 서쪽 35리에 자리한 지금의 김해시와 창원시의 경계 지역에 해당하였다. 이는 그들이 처음에는 진례성을 근거지로 하였다가 점차 세력을 확대하면서 김해 지역까지 장악하며 자신들의 영향권 아래에 두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강주 지역의 호족이었던 왕봉규처럼 해상 활동을 통해 대외 교류를 전개하며 세력을 확장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섀도 어 슬롯 강화 · 소충자 형제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이 선종과 관련한 활동이다. 그들은 선승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면서 김해 섀도 어 슬롯 강화이 선종의 요람지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진경대사 심희, 낭공섀도 어 슬롯 강화행적, 진철섀도 어 슬롯 강화이엄, 진공섀도 어 슬롯 강화충담 등이 섀도 어 슬롯 강화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섀도 어 슬롯 강화 · 소충자 형제가 나말여초 불교계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다. 특히, 진경대사 심희는 봉림산파를 개창하면서 직접적으로 김인광이나 섀도 어 슬롯 강화 형제의 후원을 받았다. 이는 선승들이 주2을 개창할 때 호족의 도움을 받은 상징적 사례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 · 소충자 형제는 구 가야계 세력에 속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섀도 어 슬롯 강화가 자신의 이름을 김율희로 이름을 바꾼 사실에 더하여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 가락국기에 수로왕의 제사와 관련하여 섀도 어 슬롯 강화가 등장한 것도 그러한 추측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그들이 신라 왕실과 유기적인 관계를 지속하였던 배경에는 이러한 사실이 관련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해 준다. 이는 섀도 어 슬롯 강화중대의 개창에김유신계〔가야계〕의 활약이 컸다는 사실에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섀도 어 슬롯 강화 · 소충자 형제는 친신라적 입장을 견지하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후삼국 쟁패 과정에서 견훤이 섀도 어 슬롯 강화에 침입하고고려가 성장함에 따라 섀도 어 슬롯 강화가 급속히 쇠퇴하게 되고, 결국 이들도 역사의 무대에서 함께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원전

「광조사진철섀도 어 슬롯 강화비(廣照寺眞徹大師碑)」
「봉림사진경섀도 어 슬롯 강화비(鳳林寺眞鏡大師碑)」
『삼국유사(三國遺事)』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태자사낭공섀도 어 슬롯 강화백월서운탑비(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

단행본

이문기, 『섀도 어 슬롯 강화 하대 정치와 사회연구』(학연문화사, 2015)
조범환, 『나말려초 남종선 연구』(일조각, 2013)
김두진, 『섀도 어 슬롯 강화하대 선종사상사 연구』(일조각, 2007)
전기웅, 『나말려초의 정치사회와 문인지식층』(혜안, 1996)
정청주, 『섀도 어 슬롯 강화말 고려초 호족연구』(일조각, 1996)

논문

윤경진, 「섀도 어 슬롯 강화말 고려초 義城府・甫城府 연혁에 대한 재검토」(『섀도 어 슬롯 강화문화』 51, 동국대학교 섀도 어 슬롯 강화문화연구소, 2018)
정청주, 「섀도 어 슬롯 강화말, 고려초 해상세력(海上勢力)의 대두와 그 역사적 의미 -왕건의 해상세력(海上勢力) 장악을 중심으로-」(『역사학연구』 59, 호남사학회, 2015)
최영호, 「나말여초 김해섀도 어 슬롯 강화의 對中國 해상교섭」(『석당논총』 50,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구산우, 「섀도 어 슬롯 강화말 고려초 김해 창원지역의 호족과 鳳林山門」(『한국중세사연구』 25, 동국대학교 섀도 어 슬롯 강화문화연구소, 2008)
김상돈, 「섀도 어 슬롯 강화말 · 고려초 정치질서의 재편연구」(서강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조범환, 「섀도 어 슬롯 강화말 봉림산문과 섀도 어 슬롯 강화왕실」 (『진단학보』 78, 진단학회, 1994)
최병헌, 「섀도 어 슬롯 강화말 김해지방의 호족세력과 선종」(『한국사론』 4,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78)
주석
주1

섀도 어 슬롯 강화 말에서 고려 초까지의 시기.

주2

9~10세기에 섀도 어 슬롯 강화 말 고려 초의 사회변동에 따라 주관적 사유를 강조한 선종(禪宗)을 산골짜기에서 퍼뜨리면서 당대의 사상계를 주도한 아홉 갈래의 대표적 승려 집단.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