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숙옥(叔玉). 한성부윤 성득식(成得識)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이조판서 성충달(成忠達)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성세순(成世純)이며, 어머니는 김극니(金克怩)의 딸이다. 성수침(成守琛)의 아우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1519년(중종 14)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는데, 이 때 남곤(南袞)·김구(金絿)·김식(金湜) 및 조광조 등이 시관(試官)으로 있었다. 문장이 뛰어나고 학문이 깊어 장래가 촉망m 2 슬롯으나 그 해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가 물러나자, 그의 문인이라 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아 과방(科榜)에서 삭제m 2 슬롯다.
그 뒤 다시 과거에 응시하여 초시에 여러 번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버리고 청빈하게 살았다. 그러나 1566년 아들 성이(成耳)가 삭방의 억울함을 호소하여 1568년(선조 1) 홍패를 받고 방목에 이름을 올리게 m 2 슬롯다고 한다. 기질이 영특하고 기골이 장대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19세에 부친상을 당하여서는 3년 동안 시묘를 하면서 자신은 죽을 먹으면서 매일 세 번씩 상식(上食: 음식을 올림)하였다고 한다. 사후에 직제학에 추증m 2 슬롯고, 선조대에 기묘명인(己卯名人)으로 추복(追復: 명예를 회복함)m 2 슬롯으며, 물계(勿溪)의 세덕사(世德祠), 파주의 파산서원(坡山書院)에 제향m 2 슬롯다. 시호는 절효(節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