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선운사 천불회도 ( )

목차
관련 정보
선운사 천불회도
선운사 천불회도
회화
작품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754년(영조 30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98.5㎝, 가로 140㎝.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현재천불(現在千佛)을 도상화(圖像化)한 것섀도 어 슬롯 강화.

천불은 대승 불교의 다불 사상(多佛思想)에서 비롯된 것으로 과거천불(過去千佛)은 이미 성불하였고, 현재천불은 현겁(賢劫) 중에 성불하며, 미래천불은 성수(星宿) 중에 성불한다고 하는 사상섀도 어 슬롯 강화. 이러한 천불 사상을 도설화(圖說化)한 천불 그림은 과거천불 · 현재천불 · 미래천불을 각각 그리거나 삼천불 모두를 그리기도 한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현재천불만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이 그림에 표현된 천불은 현재현겁천불로서 구류손불(拘留孫佛)을 우두머리로 하여 누지불(樓至佛)을 끝으로 하는 천불섀도 어 슬롯 강화. 천불들은 1폭에 250불씩 모두 4폭에 나누어 그렸다. 윗부분에는 구름 위에 서 있는 삼신불(三身佛)을 그리고 그 아래 불좌상(佛坐像) 250구를 그린 형식섀도 어 슬롯 강화.

화면의 맨 윗부분에는 반타원형의 무리가 셋 있고, 가운데에는 5여래(如來)가 두광(頭光)을 갖추고 두 손을 모아 합장한 자세로 서 섀도 어 슬롯 강화. 중앙의 여래를 중심으로 4여래가 협시하고 있고, 양쪽에는 각각 3여래가 합장한 자세로 중앙을 향하여 서 섀도 어 슬롯 강화.

그 아래쪽의 250불은 한 줄에는 10구, 다음 줄에는 11구씩 모두 18줄로 그려져 있다. 모두 양록색(洋綠色)의 2중 원형 광배를 갖추고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자세에 통견(通肩)의 짙은 홍색 법의를 입고 있다. 섀도 어 슬롯 강화고 제각기 다른 수인(手印)을 취하였다.

나머지 3폭은 화면 윗부분에 있는 삼신불이 없이 250불만을 그린 형식섀도 어 슬롯 강화. 주조색은 양록색 및 탁한 홍색으로서 이러한 색조는 당시 불화에 즐겨 사용되던 색조섀도 어 슬롯 강화. 필선 또한 부드러운 필치로서 은은한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미 16-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관련 섀도 어 슬롯 강화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