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슬롯 높이 1.5m, 대좌 높이 96㎝.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인터넷 슬롯은 원래의 소재지를 알 수 없으나 현재 사각형의 대좌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자세로 앉아 있다.
머리 부분이 불신(佛身)보다 큰 편이며 어깨에 비해 양 무릎의 폭이 넓고 높게 표현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당당하면서도 신체 비례가 잘 맞지 않다.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의 머리 위에는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인터넷 슬롯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낮고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어 뚜렷하지 않다.
얼굴은 마멸이 심하여 세부 표현을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유난히 좁은 이마에 뺨이나 턱에는 양감이 있으며 미소가 남아 인터넷 슬롯. 좁은 어깨는 목 부분과 거의 붙어 있어 움츠린 듯하다.
양감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지권인(智拳印 : 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 손 모양)을 하고 인터넷 슬롯 두 손은 오히려 크고 두툼하게 표현되었다.
그리고 지나치게 가슴 위로 치켜들고 있어 어색한 느낌을 준다. 특히 지권인의 수인을 보면 오른손이 왼쪽 손가락 전체를 움켜쥔 듯하다. 이러한 형태는 통일신라시대 인터넷 슬롯 이후에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걸쳤다. 특히 소매 부분과 다리 아랫부분에 밀집된 옷주름 표현과 투박한 조각 기법에서 형식화된 경향이 나타나 인터넷 슬롯.
대좌는 상 · 중 · 하대로 구성된 사각대좌로 되어 있으나 각각 떨어져 있고 인터넷 슬롯에 비해 대좌가 유난히 높은 편이다. 상대에는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돌아가며 새겨져 있다.
중대에는 각 면을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약간 파내어 테두리 선을 만들었다. 그 안에는 원형의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갖춘 인터넷 슬롯을 배치하였다.
앞면에 있는 지권인 비로자나인터넷 슬롯을 북면으로 설정하면, 남면에는 약합(藥盒)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 동면에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왼손은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의 석가불, 서면에는 상품상생인(上品上生印)의 아미타인터넷 슬롯이 조각되었다.
즉, 비로자나인터넷 슬롯의 대좌에서는 보기 드물게 사방불(四方佛)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사방불은 모두 여래형을 취하고 있다. 단지, 남면의 상만 육계가 없고 보발(寶髮)이 어깨에까지 내려와 있는 보살 형식 또는 두건을 쓰고 있는 지장보살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강명경 金剛明經≫에 의한 사방불은 동방 아촉불(阿閦佛), 서방 무량수불(無量壽佛), 남방 보상불(寶相佛), 북방 미묘성불(微妙聲佛)로 정해져 인터넷 슬롯. 그러나 경전에 따라 그 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인터넷 슬롯.
이 비로자나인터넷 슬롯의 대좌에 나타나는 사방불도 당시 널리 신앙되고 있었던 인터넷 슬롯을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아래로는 우주(隅柱 : 모서리 기둥)와 탱주(撑柱: 버팀기둥)만 표현된 하대석이 놓여 있다.
이 인터넷 슬롯은 전체적으로 비례감이 맞지 않는 신체 표현이나 당당하면서도 양감이 줄어든 모습, 다소 거칠고 투박한 조각 기법 등에서 통일신라 전성기의 인터넷 슬롯 양식을 계승한 고려 초기의 인터넷 슬롯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