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칠언배율. 『동문선(東文選)』 권11에에 전한다. 제목에서 말한 바와 같이, 돌의 굳음은 빼앗을 수 없다고 한 것으로 선비의 굳센 뜻을 나타냈다. 음양이 처음 갈라진 뒤에, 물건의 종류가 수만가지 생겨나 서로 뒤얽혔지만, 돌은 그 중에서 특이하다는 말로 서두를 삼았다.
돌은 굳음을 안으로 간직해서, 부술 수는 있어도 타고난 본성을 잃게 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쇠는 녹여서 그릇을 만들 슬롯 머신 플래시 게임고, 구리는 부어서 돈을 만들 슬롯 머신 플래시 게임지만, 돌은 같은 방식으로 다루지 못한다고 하였다. 원래부터 지닌 마음을 굳게 간직하며, 상황을 추종하지 않고 강요를 해도 달라지지 않는 선비의 자세를 돌에다 견주었다. 삶의 자세를 가다듬고자 한 사상적인 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