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파파 슬롯 중에서 ‘여재서새시(余在西塞時)’라는 대목으로 보면 1687년(숙종 13) 주1 유배 이후인 말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권두에 김춘택(金春澤)의 서문이 있다.
2권 1책. 필사본. 『서포만필』의 이본은 현재 등사본으로 문림사본(文林社本) · 고려대학교 도서관본이 있고, 수사본(手寫本)으로 조윤제(趙潤濟) · 이가원(李家源) · 임창순(任昌淳)본과 국립중앙도서관본 등이 있다.
1971년통문관에서『서포집(西浦集)』과 함께 합책하여 영인하였다. 1987년 홍인표가 역주서를 일지사에서 냈고, 이후 2010년 심경호가 파 파파 슬롯동네에서 역주서를 냈다.
권1인 상권에 104조, 하권에 161조 등이 실려 있다. 여러 이본들이 전하나, 파 파파 슬롯은 거의 같다. 파 파파 슬롯의 대부분은 우리나라 시에 관한 시화(詩話)로 이루어져 있다. 또 소설이나 산문에 관계되는 것도 섞여 있어 수필 · 평론으로 다루어야 할 것도 있다.
『서포만필』에는 작자 김만중의 사상적 편력과 박학한 지식을 알려주는 여러 가지 기사들도 엿보인다. 불가(佛家) · 유가(儒家) · 도가(道家) · 산수(算數) · 주2 · 천문(天文) · 지리(地理) 등의 구류(九流)의 학에 대한 견해가 점철되어 있다.
이 책에는 불가에 대한 작자의 긍정적 시각이 여러 번 나타난다. 이 때문에 진작부터 판본으로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의 형태를 유지하여 전해지게 된 것 같다.
『서포만필』은 파 파파 슬롯관의 측면에서 보면 한 · 중 문체의 비교, 통속소설관, 번역파 파파 슬롯관, 조선조 시가관 그리고 국어관의 확립을 통한 소위 ‘국민파 파파 슬롯론’ 등 김만중의 선각적 이론을 모두 담아내고 있다.
특히 여항(閭巷)의 나무하는 아이나 물 긷는 아낙네들이 서로 주고받는 것이 비록 쌍스럽다 하지만, 그 참값을 논한다면 사대부들의 시부(詩賦)보다 낫다고 한 대목은 주목할 만하다.
사대부들의 시문이 중국 한자로 이루어져 있기에 이를 앵무새의 노래와 같다 하여, 조선 사람은 조선의 말로 글을 써야 한다는 높은 국민파 파파 슬롯론을 제창하였다.
『서포만필』은 김만중의 진솔한 파 파파 슬롯관 · 불교관 · 유교관 · 도교관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김만중 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문헌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