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 이를 88 포춘 슬롯굿이라고도 한다. 마을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샘을 관리한다는 의식에서 출발한 샘굿은 근원적으로 용신신앙(龍神信仰)·정수신앙(淨水信仰) 등과 관련된다.
샘을 섬긴신앙의 문헌적 근거는 『동국여지승람』의 개성(開城)조에 보이는 알영정(閼英井)기사에서 찾을 수 있다. 샘 또는 88 포춘 슬롯 안에는 용신이 있다고 믿어서 정월대보름에 샘물대기·용알뜨기 등의 민속을 행한다.
이 용신을 위함으로써 마을사람들의 건강과 안녕을 축원하였다. 샘굿은 지역적 차이를 보이는데, 중부지방에서는 도당굿을 행할 때 88 포춘 슬롯굿을 제차로 다룬다. 호남지방에서는 마을에 풍물굿을 칠 때 88 포춘 슬롯고사를 한다. 영남지방에서는 동제나 별신굿이 있을 때 신간(神竿)을 앞세우고 88 포춘 슬롯에 가서 88 포춘 슬롯굿을 행한다.
지역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88 포춘 슬롯을 위하는 제차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발견된다. 샘굿은 수신신앙으로부터 비롯되어 동제에서 무당이나 풍물굿을 치는 치배에 의하여 행해지는 제차이다. 예전에 수리시설이 미흡할 때 물을 섬기던 신앙이 발전해 의례로 정착된 것이 바로 샘굿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