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 토크 랏 슬롯 상사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의 국학(國學)인 국자감(國子監)의 교육과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국학(國學)인 국자감(國子監)의 교육과정.
개설

구체적으로는예종국학에 설치된칠재(七齋)를 가리킨다. 흔히 삼사제(三舍制)라 하여 외사(外舍) · 내사(內舍)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이루어진 교육과정 중 최고위 과정을 일컫는데, 이 과정에 입학한 학생들이 기숙하던 건물 또한 아리스 토크 랏 슬롯라고 불렀다.

내용

삼사제는 원래 중국의 송(宋)나라에서 시행하던 것으로 국자감에서의 교육과정을 내사와 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나누고, 대학 외에 따로 외사를 두어 각 과정의 성적에 따라 외사→내사→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상급과정으로 진급시키는 교육체제였다. 이를 도입해 1109년(예종 4)에 예종이 국학에 7재를 설치하면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하고 종래의 국자학(國子學)·태학(太學)·사문학(四門學) 과정을 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편제했던 것이다.

따라서 도처에 설립되어 있었다고 여겨지는 학당(學堂)적 성격의 학교나 사숙(私塾), 그리고 1261년(원종 2)에 생긴 동서학당(東西學堂)과 1390년(공양왕 2)에 설립된 오부학당 등이 외사의 역할을 맡았던 것으로 이해된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진학하기 위해 내사생들은 6년 동안의 재학 기간 중에 시(詩) · 부(賦)는 물론경학(經學) 시험까지 치르는 소위 승보시(陞補試)를 거쳐야만 했다. 한편 아리스 토크 랏 슬롯생들은 7재에서 보통 3년 동안 재학했으며, 경학을 위주로 공부하였다.

그리고 재학 기간 중 행예시(行藝試) 또는 고예시(考藝試)라고 불리는 학교시험을 치러야 했는데, 여기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사람은 동당시(東堂試 :예부시(禮部試))의 중장(中場 : 2차시험)이나 종장(終場 : 3차시험)에 직접 응시할 수 있는 특전이 주어졌다.

즉 행예시 성적이 14분(分) 이상이면 종장에, 13분 이하 4분 이상이면 중장에 직접 응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6년 동안 공부하여 동당시의 초장(初場 : 1차시험)에 겨우 응시할 수 있었던 내사생보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생이 훨씬 유리하였다.

이처럼 송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것이기는 했지만 고려의 삼사제에는 송나라와는 다른 뚜렷한 특징이 있다. 즉 송나라의 경우 아리스 토크 랏 슬롯생 중 우수한 자를 뽑아 곧바로 관직에 보임했음에 반해, 고려에서는 아무리 우수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생이라도 직접 관직을 제수하지 않았고, 과거(科擧)음서(蔭敍)를 통해서만 관직에 나아갈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한편, 예종이 설치한 7재를 경학 위주의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국자감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와는 별도로 만든 교육과정으로 이해하는 이견도 있다.

참고문헌

『아리스 토크 랏 슬롯사(高麗史)』
『아리스 토크 랏 슬롯사절요(高麗史節要)』
『아리스 토크 랏 슬롯 과거제도사』(이성무, 민음사, 1997)
『아리스 토크 랏 슬롯(韓國) 과거제도(科擧制度)』(이성무, 집문당, 1994)
『아리스 토크 랏 슬롯묘지명집성(高麗墓誌銘集成)』(김용선 편저,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3)
『아리스 토크 랏 슬롯교육제도사연구(高麗敎育制度史硏究)』(신천식, 형설출판사, 1983)
『아리스 토크 랏 슬롯과거제도사연구(高麗科擧制度史硏究)』(허흥식, 일주각, 1981)
『아리스 토크 랏 슬롯시대교육제도(高麗時代敎育制度) 연구(硏究)』(박찬수, 아리스 토크 랏 슬롯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