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사제는 원래 중국의 송(宋)나라에서 시행하던 것으로 국자감에서의 교육과정을 내사와 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나누고, 대학 외에 따로 외사를 두어 각 과정의 성적에 따라 외사→내사→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상급과정으로 진급시키는 교육체제였다. 이를 도입해 1109년(예종 4)에 예종이 국학에 7재를 설치하면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하고 종래의 국자학(國子學)·태학(太學)·사문학(四門學) 과정을 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편제했던 것이다.
따라서 도처에 설립되어 있었다고 여겨지는 학당(學堂)적 성격의 학교나 사숙(私塾), 그리고 1261년(원종 2)에 생긴 동서학당(東西學堂)과 1390년(공양왕 2)에 설립된 오부학당 등이 외사의 역할을 맡았던 것으로 이해된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진학하기 위해 내사생들은 6년 동안의 재학 기간 중에 시(詩) · 부(賦)는 물론경학(經學) 시험까지 치르는 소위 승보시(陞補試)를 거쳐야만 했다. 한편 아리스 토크 랏 슬롯생들은 7재에서 보통 3년 동안 재학했으며, 경학을 위주로 공부하였다.
그리고 재학 기간 중 행예시(行藝試) 또는 고예시(考藝試)라고 불리는 학교시험을 치러야 했는데, 여기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사람은 동당시(東堂試 :예부시(禮部試))의 중장(中場 : 2차시험)이나 종장(終場 : 3차시험)에 직접 응시할 수 있는 특전이 주어졌다.
즉 행예시 성적이 14분(分) 이상이면 종장에, 13분 이하 4분 이상이면 중장에 직접 응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6년 동안 공부하여 동당시의 초장(初場 : 1차시험)에 겨우 응시할 수 있었던 내사생보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생이 훨씬 유리하였다.
이처럼 송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것이기는 했지만 고려의 삼사제에는 송나라와는 다른 뚜렷한 특징이 있다. 즉 송나라의 경우 아리스 토크 랏 슬롯생 중 우수한 자를 뽑아 곧바로 관직에 보임했음에 반해, 고려에서는 아무리 우수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생이라도 직접 관직을 제수하지 않았고, 과거(科擧)나음서(蔭敍)를 통해서만 관직에 나아갈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한편, 예종이 설치한 7재를 경학 위주의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국자감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와는 별도로 만든 교육과정으로 이해하는 이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