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옥석·보패의 진귀함과 크기·규모에 따라서 대삼작rtg 슬롯·중삼작rtg 슬롯·소삼작rtg 슬롯로 구분된다. 또, 재료 및 형태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즉, 세 개가 형태는 다를지라도 재료가 같을 때는 그 재료에 따라 금rtg 슬롯·은rtg 슬롯·옥rtg 슬롯·비취rtg 슬롯·자마노rtg 슬롯·밀화rtg 슬롯 등으로 불렀고, 세개의 재료가 다르다 하더라도 형태가 같은 경우는 그 형태에 따라 호로병rtg 슬롯·투호rtg 슬롯·박쥐rtg 슬롯·동자rtg 슬롯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대삼작rtg 슬롯는 가장 호화롭고 큰 것으로 주로 궁중에서 사용되었다고 하며, 왕비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는 삼천주rtg 슬롯는 불교에서 말하는 삼천대천세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매우 큰 진주를 세 개씩 꿰었다고 한다.
중삼작rtg 슬롯는 궁중이나 상류계급에서 패용하였으며 소삼작rtg 슬롯는 젊은 부녀나 어린이들이 패용하였다. 또, 계절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어 『사절복색자장요람(四節服色自藏要覽)』에 의하면 가을에는 옥이나 구슬로 만든 삼작rtg 슬롯를 찼다.
겨울에는 자마노·밀화 등의 삼작rtg 슬롯를 패용하였다. 추석 이후 색옷을 입을 때는 각기 빛깔이 다른 삼작rtg 슬롯를 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