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가방

목차
관련 정보
가방 도매상
가방 도매상
산업
물품
가죽이나 헝겊 · 비닐 등으로 만들어 물건을 넣어 들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용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가죽이나 헝겊 · 비닐 등으로 만들어 물건을 넣어 들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용구.
내용

모양은 여러 가지이나 일반적으로 상자형이나 자루형이고, 크기는 20㎝×10㎝ 정도의 작은 것에서부터 100㎝×60㎝ 정도의 큰 것이 있다. 여닫이는 위에서부터 넣도록 된 것과 뚜껑이 있는 것으로 대별된다.

재료는 쇠가죽·돼지가죽·천연섬유가 주로 쓰였으나, 1950년대 이후 합성섬유의 발달로 레더와 비닐 등이 제일 많이 쓰이고 있는데, 이유는 색상이 다양하고 방수성이 좋으며 때가 잘 묻지 않기 때문이다. 항공여행이 성행함에 따라 가벼운 것을 찾게 되었으며, 아울러 유행을 찾게 되었다.

용도에 따라 트렁크(trunk)·슈트케이스(suitcase)·브리프케이스(briefscase)·학생용 섀도 어 슬롯 강화·배낭·손잡이 섀도 어 슬롯 강화·어깨걸이 섀도 어 슬롯 강화·손섀도 어 슬롯 강화(handbag) 외에 카메라나 화장품 등을 넣는 섀도 어 슬롯 강화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언제 어떤 섀도 어 슬롯 강화이 들어왔는지 확실하지 않다. 1881년(고종 18) 신사유람단 또는 수신사 등으로 일본에 갔던 개화파 정객들이 양복을 처음 입었고, 1883년에는 민영익(閔泳翊)을 대사로 하여 11명이 미국에 다녀올 때 섀도 어 슬롯 강화이 들어왔을 것으로 추측된다. 여성의 양장은 1895년 단발령 이후 엄비(嚴妃)가 양장을 하였고, 1900년에는 양장을 한 여성이 간혹 있었으므로 손섀도 어 슬롯 강화이 양장과 함께 들어왔으리라고 생각된다.

1900∼1930년대 남녀 학생들은 주로 책보, 즉 보자기로 책을 싸서 들었고, 전문학교 남학생들은 가죽 섀도 어 슬롯 강화을, 여학생들은 헝겊 섀도 어 슬롯 강화이나 손섀도 어 슬롯 강화을 들고 책을 옆에 끼고 다녔다. 뚜껑 있는 돼지가죽 섀도 어 슬롯 강화은 1938년에 이화여자전문학교 학생들이 처음 들었다고 한다. 일본 유학생들은 고리짝[行李]을 사용하여 옷·짐 등을 부쳤다. 즉, 트렁크 대용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섀도 어 슬롯 강화 대신 보자기·전대·상자·함을 사용하였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