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놀이 (티 카페 슬롯)

목차
관련 정보
산신놀이 / 수심방의 재판
산신놀이 / 수심방의 재판
민간신앙
의례·행사
제주도 무당굿에서 수렵의 풍요를 비는굿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티 카페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도 무당굿에서 수렵의 풍요를 비는굿거리.
내용

제주도에서 티 카페 슬롯은 산야의 동물을 차지하고 있다고 신앙하기 때문에 이 신에게 사냥이 잘 되게 도와달라고 비는 굿이다.

티 카페 슬롯을 집안의 수호신인 ‘조상’으로 모시고 있는 집안에서 큰굿 때 한 제의 절차로 행하기도 하고, 티 카페 슬롯을 마을의 당신으로 모시고 있는 마을에서 당굿 때 행하기도 한다.

집안에서 하는 큰굿 때는 방안에 티 카페 슬롯상을 차려놓고 하며, 당굿 때는 당의 제단에 여러 가지 제물을 차려놓고 행한다. 굿은 군복차림의 심방이 북·징·설쇠 등의 무악장단에 맞추어 춤과 노래를 하는 초감제부터 시작된다.

초감제는 티 카페 슬롯을 청하여 앉혀 사냥이 잘 되게 해주기를 비는 제의 절차이다. 굿하는 날짜와 장소를 설명하고 굿하는 연유를 고하고 티 카페 슬롯이 오는 군문을 열어 티 카페 슬롯을 청하여 앉히고, 제물을 먹도록 권하여 수렵의 풍요를 비는 순서로 초감제는 끝이 난다.

초감제가 끝나면 ‘포수 청하기’로 넘어간다. 이 때 소무 2명이 포수로 분장하여 ‘갈옷’을 입고 막대기를 총 삼아 둘러메고, 메·술·떡·명태·실과·미나리채 등 티 카페 슬롯제 지낼 제물을 자루에 담아 지고 굿청에서 멀리 대기하고 있다.

굿청에서는 심방이 티 카페 슬롯놀이를 하게 된 연유를 노래하고 이어서 포수를 청하는 사설을 노래한다. 그러면 대기해 있던 포수들이 춤을 추며 들어오고 심방과 포수임을 확인하는 해학적인 대화가 교환된다.

포수들은 사냥을 가려는데, 먼저 티 카페 슬롯제를 지내자고 하며 제물을 진설하고 티 카페 슬롯제 지내는 장면을 연출한 뒤, 잠을 자는 시늉을 하다가 날이 밝았다고 하여 사냥을 떠난다. 이 때 소무 한 사람이 닭 한 마리를 허리에 차고 짐승으로 분장하여 도망치면 포수들은 이를 쫓아 집안·지붕·울타리 안 구석구석을 뛰어다니며 겨우 잡는다.

이 장면을 ‘사농티 카페 슬롯’라 한다. 닭을 잡은 두 포수는 큰 사슴을 잡았다고 하며 서로 자기가 잡았다고 다툰다. 그러면 수심방이 향장(鄕長)역으로 나서서 잡을 당시의 상황을 듣고 둘이 같이 잡은 것이니 반씩 나누라고 하여 닭을 분배하는 장면을 벌인다.

그런 뒤 그 고기를 제주(祭主) 가족에게 가져가서, 병이 낫도록 사슴 피를 먹인다고 하면서 술을 조금씩 먹여 사농티 카페 슬롯를 끝낸다.

다음에 지장본풀이와 전란 때 죽은 영혼들을 대접하는 ‘군병지사빔’을 하여 티 카페 슬롯놀이를 모두 끝낸다. 이 굿은 사냥장면을 모의적으로 실연하여 실제 수렵의 풍요를 기도하는 유감주술적인 의례라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참고문헌

『티 카페 슬롯도무속연구(濟州島巫俗硏究)』(현용준, 집문당, 198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현용준(제주대학교, 국문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티 카페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티 카페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