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남도프라그마틱 슬롯시 정동면 예수리 산45번지에 소재한 성황산 정상부를 성내로 삼고 그 주변 9부 능선상에 프라그마틱 슬롯의 몸체를 배치한 테뫼식 주6 프라그마틱 슬롯이다. 현재는 둘레 약 1,109m, 높이 340~440cm의 성벽 몸체가 잔존하고 있다. 성내에서 북쪽으로는 프라그마틱 슬롯읍이 내려다보이고, 서쪽으로 프라그마틱 슬롯만이 조망되며 동쪽과 남쪽은 니구산과 구룡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평면이 곡선상을 이루며 성 안쪽은 북쪽과 서쪽 일부 경사지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평탄하고 성 바깥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세종실록』 권150 지리지 경상도 프라그마틱 슬롯조에서는 "성황산성은 석성으로 현의 남쪽 2리에 있으며, 높고 험하며 주위가 588보이다. 성내에 샘 1곳, 연못 2곳과 주7이 있었다."라고 한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1 프라그마틱 슬롯현 고적조에서는 "석축으로 둘레 1,954척, 성내에 샘 1곳, 연못 1곳이 있었다."라고 한다.
성황당산성은 프라그마틱 슬롯의 몸체와 동문지 일원에 대하여 정밀 지표 조사가 이루어졌다. 주8 수법을 살펴보면, 프라그마틱 슬롯의 몸체는 구지표를 걷어내고 생토층 위에 외벽 주9를 설치한 후주1으로주10을 하였다. 내벽은주11이 계단과 같은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프라그마틱 슬롯의 몸체 잔존 높이는 340~440cm, 너비 660cm이다. 기본적으로 산탁하여 축조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주13한 부분도 프라그마틱 슬롯된다. 즉 외벽의 경우 주19한주14을 이용하여 수평주15을 맞추어 정연하게 축조한 곳도 프라그마틱 슬롯된다. 이러한 축조 수법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산성 축조 수법과 유사하여 관련성이 주목된다.
동문지(東門址)는 현문(懸門)식으로 목조 주4를 갖춘 구조이다. 문지 부분은 성내 성토층 높이에서 외벽 쪽을 5단 정도 석축을 다 쌓은 다음 그 위에 주16 초석을 배치하고 성내 쪽은 같은 높이의 생토층 위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동문 출입은 사다리와 같은 보조 시설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문지에서는 수개축 흔적이 프라그마틱 슬롯되고 있으며 성벽의 몸체와 초석의 위치를 감안하면 주17 구조의 문루를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문지 규모는 성벽의 몸체 높이 440cm, 너비 450cm, 문루는 정면 너비 330cm, 측면 너비 540cm, 초석 간격 270cm로 프라그마틱 슬롯된다. 그 밖에 동문지 위의 정상부에 평면원형 주18가 프라그마틱 슬롯되는데 규모가 직경 1850cm, 깊이 330cm이고 자연석 6-7단 정도 호안(護岸) 석축이 프라그마틱 슬롯된다. 성내에서는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토기 조각이 출토되며, 기타 청자 조각과 분청사기 조각, 어골문, 목리문이 시문된 회갈색, 적갈색 연질(軟質) 기와 조각이 출토된다.
『태조실록』, 『태종실록』등에 진주의 프라그마틱 슬롯이주3으로 봉하여지고, 이 호국백의 제사를 지냈던 진주의 성황당이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1 프라그마틱 슬롯현 사묘조에 성내에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이 산성은 군사적 기능 이외에도 종교적 기능도 겸비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황당프라그마틱 슬롯은프라그마틱 슬롯읍성이 축조되기 이전에 프라그마틱 슬롯의 주5로서 문헌 사료를 참고하면, 조선시대 이전부터 이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한 곳이다. 특히 삼국시대 포상팔국의 하나인사물국과 연결시켜 생각할 수 있으며 축조 수법과 출토 유물의 양상으로 볼 때 삼국시대까지 축조 시기를 소급하여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