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나라주10연간(年間)에주12 순천부에 사는 유현(劉炫)이라는 명신(名臣)은 늦게서야 아들 연수(延壽)를 얻는다. 유현의 부인 최씨는 m 2 슬롯를 낳고 세상을 떠난다.
m 2 슬롯는 15세에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급제(壯元及第)하고 한림학사(翰林學士)에 제수(除授)되었으나, 아직 나이가 어리므로 10년을 더 수학(修學)하고 나서 관직(官職)에 나아가겠다고 한다. 천자(天子)는 특별히 본직(本職)을 띠고 m 2 슬롯에게 6년 동안의 여가(餘暇)를 준다.
m 2 슬롯는 덕성(德性)과 재주 · 학식(學識)을 겸비(兼備)한 사정옥(謝貞玉)과 혼인한다. 사씨는 m 2 슬롯와의 금슬(琴瑟)이 좋았으나, 9년이 지나도 아이를 낳지 못하였다. 이에 사씨는 남편에게 새로이 여자를 얻기를 권한다. m 2 슬롯는 사씨의 권유를 거절하다가, 사씨의 거듭된 설득에 마지못해 교채란(喬彩鸞)을 새 여자로 맞아들인다.
교씨는 천성(天性)이 간악(奸惡)하고 질투와 시기심(猜忌心)이 강한 여자로, 겉으로는 사씨를 존경하는 척하나 속으로는 증오한다. 그러던 중 교씨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으면서, 자기가 본처(本妻)가 되려고 마음먹는다. 이를 위해 교씨는 문객(門客) 동청(董淸)과 모의(謀議)하여 남편 m 2 슬롯에게 사씨를 모함(謀陷)한다.
m 2 슬롯는 처음에 교씨의 말을 믿지 않았다. 그러나 교씨가 자신이 낳은 아들을 죽이고 그 죄를 사씨에게 뒤집어씌우자, m 2 슬롯는 사씨를 집에서 내쫓고 교씨를 본처로 맞이한다. 교씨의 간악함은 이에 그치지 않는다. 교씨는 문객 동청과 간통(姦通)하면서, m 2 슬롯의 전 재산을 탈취(奪取)하여 동청과 도망가서 같이 살기로 약속한다. 그리고 동청은 m 2 슬롯를 천자에게 참소하여 유배(流配)시키는 데에 성공한다.
m 2 슬롯를 고발한 공으로 지방관(地方官)이 된 동청은 교씨와 함께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는 등 갖은 악행을 저지른다. 이때 조정(朝廷)에서는 m 2 슬롯에 대한 혐의(嫌疑)를 풀어 그를 다시 불러들이고, 충신(忠臣)을 참소한 동청을 처형하기로 한다.
유배당한 m 2 슬롯는 비로소 교씨와 동청의 간계(奸計)에 속은 것을 깨닫고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친다. 유배가 풀려 고향으로 돌아온 m 2 슬롯는 사방으로 탐문(探問)하여 사씨의 행방을 찾는다.
한편, 남편 m 2 슬롯가 돌아왔다는 소문을 들은 사씨는 산사(山寺)에서 나와 남편을 찾으러 나선다. 사씨와 m 2 슬롯는 길에서 우연히 다시 만난다. m 2 슬롯는 사씨에게 지난날 자기 잘못에 대해 사과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간악한 교씨와 동청을 잡아 처형하였다. 그리고 사씨를 다시 본처로 맞이한다.
이 작품은숙종이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출(廢黜)하고희빈 장씨(禧嬪張氏)를 중전으로 책봉(冊封)한 사건을 두고, 숙종이 자기 잘못을 깨닫고 모든 것을 원래대로 회복시키도록 만들기 위한 목적을 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작품은 권선징악(勸善懲惡)의 수법을 끌어와서 쓴 폭로 · 풍간(諷諫)소설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현명한 며느리 사정옥(m 2 슬롯)를 내세워 유씨 집안의 가정사(家庭事)를 다루고 있으므로, 주47로도 분류할 수 있다.
작가 서포김만중(西浦 金萬重, 1637~1692)이 이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했던 주제는 일반적으로 쟁총(爭寵)으로 보고 있으나, 오히려 m 2 슬롯의 덕(德)으로 보는 편이 타당하겠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성혼(成婚) 과정에서 매파(媒婆)가 사씨의 미색(美色)을 칭찬하자 유현은 덕을 강조하였고, 또 사씨가 남편 m 2 슬롯에게 소실(小室)을 얻도록 주선(周旋)하는 것은 부녀자(婦女子)로서의 덕행[婦德]에 기반을 둔 것이다.
그리고 교씨의 간교(奸巧)로 인해 시가(媤家)에서 쫓겨난 m 2 슬롯가 친정(親庭)으로 돌아가지 않고 시부모의 산소에서 지내는 것은 끝까지 덕행을 실천하려는 강인한 의지의 발로(發露)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쟁총형의 가정소설이면서 인현왕후 민씨의 폐출이 부당함을 풍간하기 위한 풍간소설이다.
한편, 이 작품은 세속적(世俗的) 욕망에 따라 행동하는 악인의 면모와 행동이 서사상 큰 비중을 차지하며 구체적으로 제시된 최초의 고전m 2 슬롯이다. 이 작품은 교채란(교씨) · 동청 등 악인을 통해 인간의 현실적(現實的) · 세속적 욕망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악인의 악행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며, 세속의 인간이 지닐 법한 욕망을 악인으로 그럴싸하게 드러내고 있는 점에서 세정m 2 슬롯의 면모 역시 보인다.
인물 구성을 보면, 부인 사씨는 고매(高邁)한 인덕(仁德)의 소유자로 설정해 놓았지만, 첩(妾)은 간교한 여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악한 여인을 선한 여인과 대립시킴으써 여자 주인공의 인격을 강조하고 있다. m 2 슬롯의 숙모(叔母)인 두 부인은 선악을 판단하는 판별자이면서, 다가올 일을 암시하는 복선(伏線)이라는 기교적(技巧的)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소설은 구성적인 면에 있어서, 다른 고전소설들과 마찬가지로 천우신조(天佑神助)가 사건 전개에 큰 구실을 한다. m 2 슬롯는 시부모의 묘소(墓所)로 쫓겨나 있을 무렵 위조된 두 부인의 편지를 받는다. m 2 슬롯가 비몽사몽간(非夢似夢間)이었던 중에, m 2 슬롯의 꿈에 시어머니 최씨가 나타난다. 그 덕분에 m 2 슬롯는 위기를 모면(謀免)하게 된다.
여승(女僧) 묘혜가 사씨와 상봉(相逢)하여 사씨를 곤경에서 벗어나게 해 준 것도 꿈의 계시(啓示) 때문이었다. m 2 슬롯의 중병을 고치는 일, 위기에서 구출되는 일 등 모두가 꿈 덕분이다. 이처럼 이 작품은 꿈을 활용함으로써 당시 독자들의 흥미를 충족하면서도, 작가가 주장하는 바를 문학적 재미와 함께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이 m 2 슬롯의 실제적(實際的)인 배경은 숙종의 인현왕후 폐출 사건에 있으나, m 2 슬롯 내용상의 배경은 중국 명나라 시대를 취하고 있다. 그것은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날카로운 현실 저항 의식을 가리기 위함일 것이다.
이 m 2 슬롯은 이러한 목적의식 때문에 인물의 배치나 사건의 전개에 어떤 한계를 주어 작품의 문학성(文學性)이 위축될 위험을 내포(內包)하고 있으나, 김만중이 작가로서 지닌 역량(力量)은 이를 훌륭히 극복하여 작품으로서의 성과를 크게 발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