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낭(筆囊)이라고도 한다. 붓은 문방사우 가운데 하나로 종이·묵·벼루는 오래될 수록 좋으나 붓만은 새 것이 좋다고 하였다. 붓에는 작은 글씨를 쓰는 가느다란 초필(抄筆)이 있고, 편지 쓰기에 알맞은 큰 붓과 작은 붓의 중간이 되는 간필(簡筆), 큰 글씨를 쓰는 대필(大筆)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 언제부터 붓을 사용하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중국의 한자문화가 전래된 때부터였다고 할 메이플 농장 몬스터 슬롯다. 따라서 붓은 글을 배우거나 글을 배운 사람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었으므로 이를 보관하는 데도 신경을 써서 집안에서는 필통에 넣어두었으며, 외부에서 필요할 때는 붓주머니에 넣어 차고 다녔다.
붓주머니를 만드는 법은 긴 직사각형의 색비단 헝겊을 전대 만드는 것과 같이 바이어스 접듯이 접어 이음부분은 수를 놓아 감쳤다. 위쪽을 접으면 뚜껑이 되며, 여기에 끈을 꿰었다. 조선 중기와 후기의 것으로 남아 있는 유물을 보면, 가로 8∼10㎝, 세로 21∼32.5㎝의 것이 보통이었다. 붓주머니의 자수문양은 길상문이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