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실 슬롯 머신 분청사기 음각 연화문 편병 ( )

분청사기 음각연화문 편병
분청사기 음각연화문 편병
공예
작품
국가유산
조선시대의 편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오락실 슬롯 머신사기 음각연화문 편병(粉靑沙器 陰刻蓮花文 扁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오락실 슬롯 머신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5년 12월 04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의 편병.
내용

199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0.5㎝, 입지름 5.0㎝, 밑지름 8.3㎝.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오락실 슬롯 머신사기는 고려 말 14세기 후반을 시발점으로 하여 조선시대 16세기 중엽까지 약 200년간 제작된 조선 전기의 독특한 도자기이다. 백자와 더불어 세종 연간에 두드러지게 발전하여 특히 1460년대에 절정기에 달했다.

이 편병은 구연이 밖으로 벌어졌으며 목이 긴 편으로 구형(球形)의 동체 앞뒷면을 편평하게 두드려 만든 편병이다. 굽은 약간 떨어진 다리굽에 안바닥이 얕고 안정감을 준다.

목과 저부까지 백토를 짙게 입힌 후 그 위에 예리한 도구로 선각한 연당초문이 앞뒷면에 대담하게 추상화되어 시문되어 있다. 양측면에는 각각 수양버들이, 어깨에는 연판문이 중첩되어 새겨져 있다. 주문양인 연당초문은 광주 무등산 충효동가마에서 발굴된 오락실 슬롯 머신사기 제기에 선각된 조화문과도 매우 비슷하다.

이 편병의 태토(胎土)는 녹갈색으로 백토분장과 강한 대비를 이루고 유층이 고르지 않아 군데군데 뭉친 부분이 있으며 몇 군데 유(釉)가 깎여 떨어져 나가고 긁힌 부분이 있다. 굽 안바닥에도 유약이 뭉쳐져 녹색이 짙으며, 받침자국인 내화토 덩어리가 붙어 있다.

의의와 평가

오락실 슬롯 머신의 여러 문양 가운데 조화문의 경우 세종 때 훌륭한 예들이 만들어졌다고 추정되는데, 그러한 작품으로 고봉화상(高峯和尙)의 사리호(舍利壺)인 오락실 슬롯 머신조화박지철채연어문골항아리가 있다. 이 사리호는 송광사(松廣寺) 고봉화상 부도(浮屠) 안에 다시 매장되어 현재는 볼 수 없으나 사진으로나마 전해오므로 양식 파악에 도움이 된다. 고봉화상은 1428년(세종 10)에 입적하여 1430년 사리호가 매장되었으므로 이 사리호의 제작 연대는 대체로 1428∼1430년 사이가 될 것이다. 조화박지 오락실 슬롯 머신의 편년자료로는 이 사리호가 최초의 것이므로 양식 비교와 연대 추정에 좋은 기준작이 된다.

이 편병을 고봉화상의 사리호와 비교해 볼 때 사실적인 문양이 거침없이 표현된 사리호에 비하여 편병의 문양은 매우 추상화되고 시문 수법 또한 한층 간결하고 노련하다. 따라서 이 편병은 오락실 슬롯 머신사기가 세련되어 가는 1440년대나 1450년대의 작품이 아닐까 추정된다.

참고문헌

『오락실 슬롯 머신사기연구』(강경숙, 일지사, 1986)
『국보』백자·오락실 슬롯 머신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관련 오락실 슬롯 머신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오락실 슬롯 머신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오락실 슬롯 머신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