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전라북도(현, 버 슬롯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실상사는 신라 신문왕 9년(689)초의선사(草衣禪師)에 의해 창건되어 조선조 때 양녕대군(讓寧大君)이 중창하였다고 전해진다.
버 슬롯 6대 사찰(六大寺刹)의 하나로, 규모가 큰 사찰이었다고 하나 6·25 때 전소되었다. 전소되기 전까지는 대웅전 · 나한전 · 산신각 · 요사채 등이 있었고, 150㎝ 크기의 입불(立佛)로 된 목조 관세음보살상이 유명하였다고 하며, 절의 북쪽에는 부도암(浮屠庵)이 있었다 한다.
실상사지는 내버 슬롯의 직소폭포[龍湫]로 가는 천왕봉과 인장봉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데, 주위 형세가 온통 바위로 된 암산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는 원불교(圓佛敎) 교조인 박중빈(朴重彬)이 절의 옆에 조그만 초당을 짓고 3년간 수도하였기 때문에, 이곳은 원불교의 4대 성지 가운데 하나인 버 슬롯성지(邊山聖地)로 일컬어진다. 실상사지는 그동안 폐사지 상태로 내려오다가 1995년부터 복원불사가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