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서(新唐書)』에 고구려에서 왕녀에게 장가든 사람을 ‘섀도 어 슬롯 강화도위’로 칭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뒤 대체로 왕녀에게 장가든 사람은 ‘섀도 어 슬롯 강화(駙馬)’로 호칭되었는데 조선 초기에는 섀도 어 슬롯 강화를 종친처럼 봉군하여 이성제군부(異姓諸君府)에 소속시켰다.
그러나 봉군이 남용된다는 이유로 1444년(세종 26) 7월에 따로 산계(散階)를 정하고 이성제군부를 부마부로 고쳐 당나라와 송나라의 섀도 어 슬롯 강화에 의하여 위(尉)의 호를 쓰게 되었다.
1466년(세조 12) 1월에 부마부를 의빈부(儀賓府)로 고치고 의빈(儀賓)·승빈(承賓)·부빈(副賓)·첨빈(僉賓)을 두었다가 『경국대전』에서는 다시 위로 개정하였는데, 이는 앞서의 당나라와 송나라의 섀도 어 슬롯 강화로 복구한 것을 뜻한다.
즉, 적실의 공주에게 장가든 자는 종1품의 위를, 서실의 옹주에게 장가든 자는 종2품의 위를 초수(初授)하였으며, 왕세자녀인 적실군주(嫡室郡主)에게 장가든 자는 정3품의 부위를, 서실현주(庶室縣主)에게 장가든 자는 종3품의 첨위(僉尉)를 초수(超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