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던트 슬롯 봉화 동면리 마애비로자나불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봉화 동면리 마애비로자나불입상
봉화 동면리 마애비로자나불입상
조각
작품
국가유산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에 있는 고려 초기의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봉화동면리마애비로자나불펜던트 슬롯(奉化東面里磨崖毘盧遮那佛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펜던트 슬롯
지정기관
펜던트 슬롯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펜던트 슬롯유산(1992년 07월 18일 지정)
소재지
경북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 산268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에 있는 고려 초기의 불상.
내용

전체 높이 236㎝, 펜던트 슬롯 높이 215㎝. 199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펜던트 슬롯은 이전에 가했던 채색과 자연적인 이끼 등으로 인하여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 펜던트 슬롯은 입상으로 수인(手印)은 확실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오른손은 가슴 중앙으로 올려 손바닥을 편 상태이다.

왼손 부분은 마모가 심하여 어떤 형태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전체적인 윤곽으로 미루어 보아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리고 있는 듯하다.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는 낮고 편평하며, 두발을 소발(素髮)로 처리되어 펜던트 슬롯.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원만한 편이다. 세모진 코와 적당한 크기의 입, 길게 어깨까지 드리운 귀 등의 표현에서 고려 초기의 특징을 보여 주고 펜던트 슬롯. 목의 길이는 짧지만 삼도(三道)가 간단하게 표현되어 있는 듯하다. 목이 짧아 어깨를 잔뜩 움츠리고 있는 듯한 긴장된 모습을 하고 펜던트 슬롯.

착의 방법은 통견의(通肩衣 : 어깨에 걸쳐진 옷)이다. 대부분 가는 음각으로 처리하고 가장자리 부분은 면양각으로 처리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펜던트 슬롯. 복부 이하의 옷주름은 마모가 심하여 확인할 길이 없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가는 음각선을 이용하여 거신광(擧身光 : 부처나 보살의 온몸에서 나오는 빛)을 표현하였다.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은 원형으로 면양각 기법을 사용하여 입체감을 주고 펜던트 슬롯.

면양각의 기법은 고려 초기 마애불에 사용되던 것으로 이 불상의 조성 연대를 간접적으로 시사해 주고 펜던트 슬롯. 불상은 지금까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비로자나불입상’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육계와 상호의 표현 양식 및 움츠리고 있는 불신의 모습을 통하여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펜던트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펜던트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