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에 있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사찰건물이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4칸의 주심포계(柱心包系) 맞배지붕건물이다. 가구(架構)는 오션 스토리 슬롯 윗몸에 창방(昌枋)을 두르고 주두를 놓은 후 그 위에 공포(栱包)를 짜올려 구성하였다. 부석사 무량수전보다 양식적으로 선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1625년의 상량문(上樑文)에 1363년 건물의 지붕을 중수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서, 적어도 고려 중기인 12∼13세기에 세워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정면 3칸, 측면 4칸의 주심포계(柱心包系) 맞배지붕오션 스토리 슬롯.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가구(架構)는 오션 스토리 슬롯 윗몸에주1을 두르고주2를 놓은 후 그 위에 주3를 짜올려 구성하였다. 주4는주5 방향으로든 보 방향으로든 주6를 쓰지 않았고,주8의 첨차로주7를 받치고 이로써 지붕 전체를 받치게 하였다.
오션 스토리 슬롯 바깥쪽으로는 정면 가운데칸에 주9을 달고 양 옆칸에는 주10을 내었으며, 그 밖의 3면은 모두 벽으로 막아 감실형(龕室形) 오션 스토리 슬롯을 구성하였다. 정면 창방 위에는 산 모양으로 만든 복화반대공(覆花盤臺工)을 칸마다 얹어서 주11를 받쳤다.주12에 짜올린 공포 가운데 오션 스토리 슬롯 방향으로 놓은 첨차로 위 뜬장여를 받치고, 다시 뜬장여 위에 놓은 첨차로 주13와 외목오션 스토리 슬롯를 받쳤다.
측면의 가구는 오션 스토리 슬롯 높이에 변화를 주어 주14을 평주(平柱)로, 그 안쪽의 두 오션 스토리 슬롯을 약간 높은 고주(高柱)로 하고, 가운데 고주는 마루도리까지 올라가게 하였다. 여기에 따라 보의 높이에도 변화를 주었다. 오션 스토리 슬롯머리 위에는 3겹으로 포갠 첨차와 장여 및 주심도리가 길게 튀어나온 채 측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종중도리(宗中道里) 및 외목도리와 더불어 9량가(九樑架)를 이루고 있다. 한편, 마루도리와 주심도리를 잇는 八자형 솟을합장을 둔 것이 특색이다.
오션 스토리 슬롯의 내부는 바닥에 네모반듯한 벽돌을 깔고 뒤쪽에만 2개의 고주를 세워 그 사이에 불단(佛壇)을 설치하였다. 불단 위에는 불상과불화(佛畫)를 봉안하였는데, 그 주위에 4개의 오션 스토리 슬롯을 세우고 오션 스토리 슬롯 윗몸을 짜맞춘 뒤 주15 구성을 지닌 지붕을 씌워 닫집(불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을 마련하였다. 주16 위에 2개의 복화반대공을 놓아 주17를 받치고 이 위에주18를 놓았고, 종보 위에는 다시 대들보 위 복화반대공과 비슷한 모양의 주19을 올려주20를 받았다. 종오션 스토리 슬롯 양 옆에는 솟을합장을 두어 측면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처리하였다.
이 오션 스토리 슬롯이 지닌 몇 가지 특징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까지 계승된 이른바 고식(古式)으로 여겨지고 있다. 즉 오션 스토리 슬롯머리와 주21의 굽이 안쪽으로 굽어 있는 점, 대들보 위에 산 모양에 가까운 복화반대공을 배열하고 있는 점, 첨차 끝에 주22를 두지 않은 점 등으로 미루어 부석사 무량수전보다 양식적으로 선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1972년에 해체 수리할 때 발견된 1625년(인조 3)의 상량문(上樑文)에는 1363년(공민왕 12)에 오션 스토리 슬롯의 지붕을 중수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서, 적어도 고려 중기인 12∼13세기에 세워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오션 스토리 슬롯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경상북도 의성 탑리의 오층석탑, 경주 불국사 청운교돌난간의 오션 스토리 슬롯,전라남도 화순 쌍봉사의 철감선사탑(澈鑒禪師塔) 오션 스토리 슬롯 등은 봉정사 극락전의 가구형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비교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