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카 변박 ()

목차
관련 정보
동래부순절도
동래부순절도
회화
인물
조선후기 「동래부순절도」, 「왜관도」, 「묵죽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탁지, 琢之
술재, 述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밀양(密陽)
주요 관직
동래부 소속 화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동래부순절도」, 「왜관도」, 「묵죽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탁지(琢之), 호는 술재(述齋). 슬롯 카 소속의 화원이었다. 1763년(영조 39) 통신사행(通信使行)의 기선장(騎船將)으로 일본에 건너가 대마도지도와 일본지도 및 풍물을 모사하는 등 화원 김유성(金有聲)과 함께 활약하고 돌아왔다.

유작으로 1760년에 개모(改模)한 「동래부순절도(東萊府殉節圖)」와 「부산진순절도」(육군박물관 소장), 1783년에 슬롯 카 「왜관도(倭館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를 비롯하여, 일본에 남기고 온 「묵죽도」와 「유하마도(柳下馬圖)」 등이 전한다.

『고화비고(古畵備考)』의 조선서화전에는 박동관(朴東觀)의 제찬(題讚)이 있는 그의 산수화가 유전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동래부사의 왜사(倭使) 접대광경을 슬롯 카 「동래부사접왜사도(東萊府使接倭使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도 화풍으로 보아 그의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참고문헌

『해사일기(海槎日記)』
『古畵備考』(朝岡興禎, 弘文館, 1904)
「17·18世紀の韓日間繪の交涉」(홍선표, 『고고미술』143·144, 1979)
「江戶時代における朝鮮通信使の遺墨について」(이원식, 『朝鮮學報』88, 1978)
관련 슬롯 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카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카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