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구륵법 ()

목차
회화
개념
형태의 윤곽을 선으로 먼저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칠하여 나타내는 화법. 구륵전채법 · 구륵착색법 · 구륵선염법 · 쌍구법.
이칭
이칭
구륵전채법(鉤勒塡彩法), 구륵착색법(鉤勒著色法), 구륵선염법(鉤勒渲染法), 쌍구법(雙鉤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형태의 윤곽을 선으로 먼저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칠하여 나타내는 화법. 구륵전채법 · 구륵착색법 · 구륵선염법 · 쌍구법.
내용

던파 온 슬롯전채법(鉤勒塡彩法)의 준말로, 던파 온 슬롯착색법(鉤勒著色法)·던파 온 슬롯선염법(鉤勒渲染法) 또는 쌍구법(雙鉤法)이라고도 한다.

중국의 당대(唐代) 이후 윤곽선 없이 직접 엷은 색채로 여러 겹 칠하여 형태를 나타내는 몰골법(沒骨法)이 등장하자 이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윤곽선을 중시하는 종래의 기법을 던파 온 슬롯법이라 일컬었다.

던파 온 슬롯은 윤곽선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견실한 형태 또는 밑그림을 견고하게 그린다는 의미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던파 온 슬롯’이라는 용어는 설색화(設色畫)에서 사용되며, 주로 화조(花鳥)나 화훼(花卉)의 기법을 구분할 때 쓰인다.

북송대(北宋代)에 형성된 황씨체(黃氏體)의 기본 양식을 이루었고, 정교하고 화려한 궁정취(宮廷趣) 짙은 원체풍(院體風)의 던파 온 슬롯와 화훼를 그릴 때 많이 애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시대의 고분벽화나 고려시대의 불교회화와 같은 실용적 채색화에서 많이 쓰였으며, 조선시대의 화조와 화훼화에서는 던파 온 슬롯법과 몰골법이 절충양식으로 혼용되었다.

조선 중기 이영윤(李英胤)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던파 온 슬롯도」 3점은 현전하는 이른 예이며, 다수의 궁중장식화에서 확인된다.

참고문헌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白描畵から水墨畵への展開』(田中一松·米澤嘉圃, 講談社, 1978)
Some Technical Terms of Chinese Painting(March, B., Paragon Book, Arno Press, New York,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