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는 교법의 수레바퀴를 굴려 중생의 모든 번뇌를 굴복시키므로 비유하여 카드 슬롯이라고 하였다. 초기 불교의 교단에서는 부처의 설법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에서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분류하는 교상판석(敎相判釋:경전을 내용·시기 등에 따라 분류함.)에 많이 붙여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주창자로는 축도생(竺道生)·길장(吉藏)·진제(眞諦)·현장(玄奘) 등을 들 수 있다.
축도생은 부처의 일대교설(一代敎說:일생의 가르침)을 선정카드 슬롯(善淨法輪)·방편카드 슬롯(方便法輪)·진실카드 슬롯(眞實法輪)·무여카드 슬롯(無餘法輪)의 4카드 슬롯으로 분류하였다.
길장은 근본카드 슬롯(根本法輪)·지말카드 슬롯(枝末法輪)·섭말귀본카드 슬롯(攝末歸本法輪)의 3카드 슬롯으로, 진제는 전카드 슬롯(轉法輪)·조카드 슬롯(照法輪)·지카드 슬롯(持法輪)의 3카드 슬롯으로 분류하였다. 현장은 사제카드 슬롯(四諦法輪)·무상카드 슬롯(無相法輪)·요의카드 슬롯(了義法輪)의 셋으로 분류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이와 같은 카드 슬롯설을 널리 채택한 고승은 신라의 원효(元曉)이다. 원효는 그의 저서인 ≪열반종요 涅槃宗要≫·≪법화경종요≫ 등에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길장의 3종카드 슬롯에 대하여, 원효는 근본카드 슬롯이란 석가모니가 처음 성도(成道)하여 화엄회상(華嚴會上:화엄경을 설한 법회)에서 보살들을 위하여 일인일과(一因一果:동일한 원인에 의해 동일한 결과를 얻음.)의 법문을 말한 것이라고 하였다.
지말카드 슬롯은 복이 엷고 근기(根機:깨달을 수 있는 능력)가 둔한 무리들이 그 깊은 일인일과의 법문을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에 일승(一乘)을 삼승(三乘)으로 나누어 설한 것이라고 하였으며, 섭말귀본카드 슬롯은 석가모니가 40년 동안 삼승의 법문을 설하여 그들의 근기를 향상시킨 뒤에 다시 삼승을 일승으로 돌아가게 하기 위하여 설한 ≪법화경≫ 등의 가르침이라고 하였다.
또, 진제의 3카드 슬롯에 대해서는 그 명칭을 유상카드 슬롯(有相法輪)·무상카드 슬롯(無相法輪)·무상무상카드 슬롯(無相無上法輪)으로 바꾸어서 해설하였다. 유상카드 슬롯은 오직 성문승(聲聞乘:가르침을 듣고 배워 깨닫는 사람)을 지향하는 사람을 위한 것으로서 사제(四諦)를 근본으로 하여 카드 슬롯을 굴리는 교법이며, ≪아함경 阿含經≫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무상카드 슬롯은 보살승(菩薩乘)을 지향하는 사람을 위한 것으로서, 법의 공성(空性)을 근본으로 하여 카드 슬롯을 굴리는 교법이며, ≪반야경≫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또, 무상무상카드 슬롯은 삼승을 모두 지향하는 이를 위한 것으로서, 법공(法空)과 무자성(無自性)을 근본으로 하여 카드 슬롯을 굴리되, 위가 없고 더 받아들일 것이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을 붙였으며, ≪해심밀경 解深密經≫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원효 이후에는 신라의 표원(表員)이 카드 슬롯에 관하여 약간의 언급을 하였으나, 그 뒤의 학승(學僧)들은 천태종의 교상판석과 화엄종 법장(法藏)의 교상판석이 많이 채택되어 카드 슬롯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