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릴 슬롯 방각본 ()

목차
관련 정보
전운옥편
전운옥편
출판
개념
영리를 목적으로 민간에서 판각하여 간행한 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5 릴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영리를 목적으로 민간에서 판각하여 간행한 책.
내용

책을 인쇄하여 파는 곳을 방사(坊肆)·서방(書坊)·서사(書肆)·서포(書鋪) 등으로 일컫던 데에서 5 릴 슬롯본 외에 사본(肆本)·서방본·서사본·서포본이라고도 불리게 되었고, 그 시초에는 목판에 새겼으므로 방각본(坊刻本)이라 하기도 하였다.

5 릴 슬롯본은 중국에서 비롯되었는데 당대(唐代)에 싹터서 송나라의 건안(建安)·마사(麻沙) 등에서 성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1541년(중종 36) 명례방(明禮坊)에서 인출한 목활자본 ≪한서열전 漢書列傳≫이 초기의 5 릴 슬롯본으로 지목되기도 하나 그것이 과연 5 릴 슬롯본의 요건인 민간인에 의한 상업적 출판물인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확인된 최고(最古)의 5 릴 슬롯 기록으로는 송석하(宋錫夏)가 소장하였던 ≪고사촬요 攷事撮要≫ 끝장의 간기(刊記)에 ‘만력(萬曆) 4년(1576) 7월’이라 하고, 이어서 “수표교 아래 북변 이제리 수문 입구에 사는 하한수 집에서 각판하였으니 살 사람은 찾아오라(水標橋下北邊二第里門河漢水家刻板買者尋來).”는 광고를 들 수 있다.

≪고사촬요≫는 일종의 백과전서이므로 서리(胥吏:말단 행정관리)는 물론 재야의 선비나 일반 서민들에게 수요가 많은 책이어서 5 릴 슬롯본을 발행할 만한 책이었을 것이다.

이로부터 10년 뒤인 1585년(선조 18)에 허봉(許篈)이 속찬한 ≪고사촬요≫도 판식과 판각의 조잡성으로 미루어 5 릴 슬롯본일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이것들은 적어도 16세기에는 서울에서 5 릴 슬롯이 행해졌음을 입증해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중종 때에는 서사에서 관서(官書)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법을 정하고 절목까지 마련한 일이 있었고, 명종 때에는 사서(私書)의 장려를 계청(啓請)한 적도 있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 같다.

한편 관서에서 찍어낸 활자본은 간행 부수가 한정되어 특정 신하에게만 내사(內賜)되었고, 교서관(校書館)에서 판각한 책도 종수에 제한이 있어 일반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웠으므로 민간에게 5 릴 슬롯을 허용하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 뒤 임진왜란, 광해군의 폭정, 이괄(李适)의 난, 정묘·병자의 호란 등 큰 재난이 잇따라서 인조 말기까지는 인쇄사업이 침체5 릴 슬롯다가 그 기능이 회복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중엽 이후로 여겨진다.

초기의 5 릴 슬롯본으로는 먼저 호남지방의 완판(完板)·태인판(泰仁板)·금성판(錦城板)을 들 수 있다. 완판은 서계(西溪)·완산(完山)·완서(完西)·흥패(興沛)·완남(完南)·하경룡(河慶龍) 등의 각판을 총칭하는데, 이 가운데 현존하는 초기의 각판은 서계의 완판으로 1648년(인조 26)에 새긴 ≪사요취선 史要聚選≫을 들 수 있다.

이전에는 1654년(효종 5)에 간행된 완산판의 ≪동몽선습 童蒙先習≫을 최초의 5 릴 슬롯본으로 보았으나, 이는 고갑자기년(古甲子紀年)과 간지기년(干支紀年)의 혼동에서 빚어진 연대 착오로서 실은 1774년(영조 50)에 해당하므로 훨씬 후대의 것이다.

태인판은 손기조(孫基祖)와 전이채(田以采)·박치유(朴致維)의 5 릴 슬롯본이 널리 알려졌다. 손기조가 자기의 이름을 상호로 한 5 릴 슬롯본으로는 1664년(현종 5)에 간행한 ≪명심보감초 明心寶鑑抄≫가 있고, 전이채·박치유가 공동명의를 상호로 한 5 릴 슬롯본으로는 1676년(숙종 2)∼1686년 사이에 간행된 ≪고문진보 古文眞寶≫·≪사요취선≫·≪사문유취 事文類聚≫·≪대명률시 大明律詩≫·≪농가집성 農家集成≫·≪구황보유방 救荒補遺方≫ 등이 있다.

이 전이채·박치유 두 사람의 공동명의는 순조 초기인 19세기 초에도 여러 종 나타난 것으로 보아 그들이 죽은 뒤까지도 그것이 상호로써 사용된 듯하다.

금성판으로서 현존하는 초기의 것은 1728년 오문(午門)에서 5 릴 슬롯한 <구운몽 九雲夢>이며, 1860년(철종 11) 5 릴 슬롯으로 추정되는 ≪어정주서백선 御定朱書百選≫도 전해진다.

5 릴 슬롯본은 서울에서 비롯되었으나 지방에서 먼저 성행한 것은 서울에서는 관간본을 구하기가 비교적 쉬웠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밖에도 안성 등 여러 곳에서 지방 5 릴 슬롯본이 나왔으나 대개 그 규모가 작고 간년도 알 수 없는 것들이다.

서울 5 릴 슬롯본인 경판본(京板本)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1792년(정조 16) 정동(貞洞)에서 간행된 ≪의례유설 疑禮類說≫이고, 그 다음은 광통방(廣通坊)에서 1804년(순조 4)에 간행한 홍태운(洪泰運) 글씨의 ≪천자문 千字文≫인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5 릴 슬롯본은 상인들이 많이 모이던 중부를 중심으로 정동·무교(武橋)·모교(毛橋)·석정동(石井洞)·유동(由洞)·합동(蛤洞)·미동(渼洞)·남산동(南山洞)·광교(廣橋)·광통교(廣通橋)·동현(銅峴)·효교(孝橋)·어청교(漁靑橋)·송동(宋洞)·야동(冶洞)·자암(紫巖)·홍수동(紅樹洞) 등에서 많이 간행되었다.

서울의 5 릴 슬롯본은 서체와 판각술이 정교한 것이 지방의 5 릴 슬롯본과 약간 다르다. 이러한 5 릴 슬롯본들은 차츰 목활자와 금속활자를 사용하게 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도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5 릴 슬롯본을 간행함으로써 독서 인구의 확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5 릴 슬롯본에는 ≪천자문≫·≪동몽선습≫·≪명심보감≫ 등 아동용 교재, ≪옥편≫·≪운서 韻書≫ 등의 자전류, 사서삼경 등 유학서, ≪사략 史略≫·≪동사촬요 東史撮要≫·≪통감절요 通鑑節要≫ 등의 역사서 외에 의례집, ≪간독정요 簡牘精要≫·≪천기대요 天機大要≫ 등 실용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서민들 사이에는 소설류가 특히 인기가 있었다.

한글 서적으로는 1844년(헌종 10)의 <한양가 漢陽歌>를 비롯하여 한말에 이르는 동안 편지투·시조집 외에 40여 종의 소설 등 200여 책에 이르렀다. →인쇄

참고문헌

『고사촬요』(천혜봉, 한국도서관학연구회, 1974)
『한국전적인쇄사』(천혜봉, 범우사, 1990)
『한국서지학』(천혜봉, 민음사, 1997)
「고사촬요의 책판목록」(이인영, 『동양학보』 30-2, 1943)
「방각론고」(안춘근, 『서지학』 1, 1968)
「방각본에 대하여」(김동욱, 『동방학지』 11,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70)
「호남방각본에 관한 연구」(권희승,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1)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5 릴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5 릴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