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중국에서 전해졌으나 『동의보감』에도 실려 있다. 처방은 반하(半夏) 7.5g, 황금(黃芩)·인삼·감초(甘草) 각 5.62g, 건강(乾薑) 3.75g, 황련(黃連) 1.875g, 생강(生薑) 3쪽, 대추 2개로 구성되었고, 물에 달여 복용인터넷 슬롯 머신.
반하·건강은 오심구토를 억제하고 특히 건강의 온중산한(溫中散寒)시키는 효능으로 한랭을 제거하며, 인삼은 상복부의 비만(痞滿: 가슴과 배에 기가 통하지 못하여 팽만감을 느끼는 것)을 완화하면서 소화 흡수를 촉진, 전신의 기능 상태를 개선인터넷 슬롯 머신.
감초와 대추는 평활근 긴장을 완해(緩解)하여 연동항진을 가라앉히며 건강과 함께 복명하리(腹鳴下痢: 뱃속에서 소리가 나며 설사하는 것)를 치료인터넷 슬롯 머신. 수양성하리(水樣性下痢)일 때는 이수(利水)시키는 복령(茯笭)을, 황금·황련은 소염·진정·해열 작용과 함께 진위정장작용을 하며 팽만감·비만·하리를 완해시킨다.
그러므로 급성위염·만성위염·십이지장궤양·소화불량증·위장신경증·임신구토 혹은 감기 등의 감염증에서 비위불화(脾胃不和)를 나타내는 병증을 치료인터넷 슬롯 머신. 이 처방을 사용함에 있어서 조성(燥性)이 심하므로 위음허(胃陰虛)의 오심구토에는 응용하여서는 안 된다.